인문학 풍수 강의

[스크랩] 하남 장용득 풍수지리 이론의 사례적 연구 <상>

참도 2018. 2. 13. 15:38

.

 

 

- 아래 논문파일에 이미지가 전혀 없어 웹상의 적합한 이미지를 첨부하였으나 저자의 의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 분량이 많아 둘로 나누었습니다.

이미지 검색과 캡쳐를 구글에서하여 출처를 표기하지 못함을 이해바랍니다.-

 

 

 

 

하남 장용득 풍수지리 이론의 사례적 연구

 

碩士學位論文
嶺南大學校 環境保健大學院
環境設計學科
風水地理學 專攻

 

최우식

 

指導敎授   朴時翼
指導敎授   朴贊龍

 

목 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서론---------------------------------------------- 1
  제2절 연구의 범위--------------------------------------- 2

제2장 풍수지리이론의 기초--------------------------------------- 4
  제1절 동기 감응론 --------------------------------------- 4
    1.기(氣)란 무엇인가-------------------------------- 4
    2.동기감응이란------------------------------------ 4
  제2절 음양설-------------------------------------------- 8
  제3절 오행설-------------------------------------------- 10
    1.오행------------------------------------------- 10
    2.오행의 작용------------------------------------- 13
  제4절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15
    1.하도: 복희팔괘, 선천팔괘-------------------------- 15
    2.낙서: 문왕팔괘, 후천팔괘-------------------------- 16
    3.선천팔괘---------------------------------------- 17
    4.하도와 낙서의 상호작용--------------------------- 18

제3장 음택 풍수지리 이론---------------------------------------- 20
  제1절 음택 풍수지리란------------------------------------ 20
  제2절 용(龍)-간룡법---------------------- 22
    1.관산론------------------------------------------ 23
    2.산수풍: 장풍득수--------------------------------- 23
    3.주산론------------------------------------------ 25
    4.용의 형태와 용의 종류---------------------------- 26
    5.오형산------------------------------------------ 29
  제3절 혈(穴)-정혈법------------------------------------- 32
    1.심혈법------------------------------------------ 33
    2.혈상오악---------------------------------------- 34
    3.혈의 사상: 와혈,겸혈,유혈,돌혈--------------------- 37
    4.혈상의 육가원칙: 태정순강고저--------------------- 40
  제4절 사(砂)-사격론, 장풍법------------------ 42
    1.사신사------------------------------------------ 43
    2.안산-------------------------------------------- 45
    3.조산-------------------------------------------- 45
    4.나성-------------------------------------------- 46
    5.길사격------------------------------------------ 47
    6.흉사격------------------------------------------ 51
    7.형국론------------------------------------------ 53
    8.용호화복---------------------------------------- 54
  제5절 수(水)-득수법---------------------- 56
    1.작국(作局)이란 ---------------------------------- 57
    2.산수풍의 수: 물과 불------------------------------ 58
    3.물의 득파--------------------------------------- 58
    4.득수-------------------------------------------- 59
    5.파구-------------------------------------------- 60
    6.수구------------------------------------------- 61
    7.수세의 길흉화복--------------------------------- 61
    8.수맥------------------------------------------- 62
  제6절 향(向)-패철론------------------------------------- 64
    1.패철의 유래------------------------------------- 64
    2.음택 24방위의 유래------------------------------ 65
    3.패철의 사용방법--------------------------------- 67
    4.24방위 길흉화복 측정법--------------------------- 69
    5.패철 제5선: 재혈과 분금--------------------------- 78
    6.각종 염(炎)-------------------------------------- 81
  제7절 음택의 사례연구------------------------------------ 83
    1."고(故) 이병철 회장" 증조부묘------------- 83
    2."노무현 대통령" 부모묘-------------------------- 89

제4장 양택 풍수지리 이론---------------------------------------- 95
  제1절 양택 풍수지리 이론이란----------------------------- 96
    1.택리지----------------------------------------- 96
    2.집의 사상--------------------------------------- 97
  제2절 가상의 3요소-------------------------------------- 99
    1.배산임수---------------------------------------- 99
    2.전저후고---------------------------------------- 100
    3.전착후관---------------------------------------- 101
    4.가상법: 대지의 형태, 건물의 배치------------------- 101
  제3절 양택 패철론--------------------------------------- 105
    1.동사택과 서사택의 구분--------------------------- 105
    2.양택 패철도------------------------------------- 105
    3.양택 패철 사용법--------------------------------- 106
    4.양택의 길흉화복론-------------------------------- 107
  제4절 양택의 사례연구------------------------------------ 111
    1.국회의사당의 일반적인 양택론---------------------- 111
    2.국회의사당의 화복론------------------------------ 111

제5장 결론 및 연구의 한계------------------------- 115

참고 문헌---------------------------------------------------- 117
ABSTARCT----------------------------------------------------- 121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배경

 

풍수지리(風水地利: FengShui)의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되어 지기 어려운 분석적 (分析的) 학문(學問)의 교육적 환경으로 인하여 풍수지리를 접근함에 있어 어려움이있어, 본 논문은 풍수지리 이론의 정확한 전개를 중심으로 하여 보고자 하였으며, 여기에서 이론의 전개는 사례분석을 하기 위한 이론이며, 또한 풍수지리 이론이 현장의 사례에서는 ‘어떻게 적용(適用)을 할 수 있는가(?)’가 매우 중요한 것 이였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삼성증권이 ‘여의도’ 입성을 피한 이유는 풍수지리상 ‘여의도’ 터가 안 좋기 때문이라는 것”이 증권가의 정설이라는 이야기나,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사무실을 개조할 때 풍수인테리어 전문가의 조언을 받았다는 점” 등의 예에서 보듯이 처음에는 양택풍수(陽宅風水)만을 위주로 하여 논문(論文)을 작성하려 하였다.1] 그러나 용(龍)을 관찰하는 방법, 혈(穴)을 정하는 방법, 사(砂)를 해석하는 방법, 좌향(坐向)을 보는 패철법 등은 음택풍수(陰宅風水)나 양택풍수(陽宅風水)가 큰 차이가 없고, 또한 풍수지리 연구가 계속될수록 음택풍수(陰宅風水)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 양택풍수(陽宅風水)를 제대로 알 수가 없기에 음택풍수이론과 양택풍수이론 모두를 ‘하남 풍수이론’을 중심으로 보고자 함이 본 논문의 작성 배경이다.

 

음택이나 양택이나 풍수의 목적은 흉(凶)함을 피하고 길(吉)함을 취해보자는 ‘피흉취길(避凶取吉)’2]에 있는 것과 같이 기본은 같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생기(生氣)가 머무는 곳인 혈(穴)을 찾아내고 혈(穴)이 있으면 명당이 있고 명당이 있으면 보국(保局)을 이루고 있다. 이곳의 혈(穴)에 시신(屍身)을 모시면 음택(陰宅)이 되고 이곳의 명당(明堂)에 집을 지으면 양택(陽宅)이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명당론의 최초의 발행년도인 1973년 이전의 다른 풍수지리 이론서에서 음택풍수지리이론의 경우 배합절(配合節)․불배합절(不配合節)․무기절(戊己節)3] 등의 산의 입수(入首) 용맥(龍脈)에 따라 귀부손(貴富孫)등의 구별로 길흉화복(吉凶禍福)을 하락수(河洛數)에 따라 정확하게 논한 것을 찾지 못하였으며, 이것이 또한 양택(陽宅)에서는 동사택(東舍宅)․서사택(西舍宅)으로 나뉘어져 양택의 가상에 따른 좌향(坐向)을 정한 후 대문(大門)의 방향에 따라서 양택 8방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하락수(河洛數)의 계산에 의해 정확하게 설명이 된 풍수지리 이론서를 찾지 못한 것이 ‘하남 풍수이론’을 선택하여 연구하게 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1]자료: ‘삼성증권’의 자료: 중앙일보 2002년 12월 08일자.

          ‘백악관’의 자료: 한국경제신문 2003월 10월 27일자.

2]이준기․김강동, 지리진보(후편), 문현사: 서울, 1986, p9.

   서진화, 자연의 섭리 땅의 이치 풍수지리, 범조사: 서울, 2001, pp28-29.

3]장용득, 명당론, 도서출판 에밀레 미술관: 서울, 1973, pp80-8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수많은 풍수이론(風水理論) 중에서 산자산․서자서(山自山․書自書)가 아닌, 수많은 양서(良書)와 현지(現地)를 답사(踏査)하여 얻어진 통계적 공식결과(統計的 公式․結果)4]를 현장에서 적용하여 책을 저술한 ‘명당론 전집(明堂論 全集)’의 저자(著者)인 ‘하남 장용득(下南 張龍得)’ 선생의 풍수지리(風水地理)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본 논문을 작성하고자 한다.

 

배합절․불배합절․무기절 등의 음택 풍수이론과 동사택․서사택 등으로 구별되는 양택 풍수이론이 현장의 사례에서 어떻게 적용이 되어 길흉화복을 논함에 있어 정확한 적용이 되는가에 본 논문의 연구의 범위를 정하였다.

 

여기에서 ‘하남 풍수이론(河南 風水理論)’5]의 음택사례(陰宅事例)로는 수많은 관산(觀山)을 하여도 보기가 매우 어렵고 드문 군왕사(君王砂)의 용맥(龍脈)의 흐름을 확연히 보이고 있는 대한민국 16대 대통령인 ‘노무현 대통령’6]의 부모(父母)묘소와 그리고 부4절(富四節)의 입수(入首)를 확실히 보여주고 있어 일국(一國)의 부자(富者)가 되는 삼성그룹의 창업주(創業主)인 ‘고(故) 이병철 회장’ 7]증조부(曾祖父) 묘소를 음택의 사례연구로 정하였으며, 양택사례(陽宅事例)로는 입법부․사법부․행정부의 3부 중에서 입법부가 위치해 있는 ‘여의도’의 국회의사당을 보고자 한다.

 

음택 풍수지리 이론에서 군왕사(君王砂)의 용맥(龍脈)과 부4절(富四節)8] 입수절(入首節)를 확실히 나타나고 있는 음택(陰宅)을 찾아보는 것은 매우 어렵고 귀하기 때문에, 그리고 사례의 적용을 위해서는 단지 ‘이론(理論)’으로서가 아닌 ‘현장(現場)’을 중심으로 한 분석을 보고자 함이고, 양택풍수는 양택 삼요결(陽宅 三要訣)의 핵심인 가상(家相)의 3요소, 대문의 위치, 건물의 가상, 건물의 배치 등을 위주로 하여 보고자 한다.

 

특히, 음택은 길지(吉地)가 없으면 화장(火葬)하는 것이 무해무득(無害無得)하지만 양택(陽宅)은 길지(吉地)에 길상(吉相)이 아니면 화(禍)를 당(當)하게 되므로,9] 새로운 도시개발(新都市開發)을 하거나 건물을 신축(新築) 및 증․개축(增․改築)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풍수지리 이론을 적용하여 길지에 길상의 건물로 도시개발을 하거나 신축이나 또는 증․개축을 하여 화(禍)를 피함이 현명한 방법일 것이다.

 

개인이나 기업의 건물뿐만 아니라 불특정(不特定) 다수인(多數人)이 이용하거나 사용하는 공공시설(公共施設)이나 건축물(建築物)은 반드시 ‘검증된 올바른 풍수지리이론’을 적용하여 사용자인 일반국민(一般國民)이나 중요한 결정을 하는 책임자에게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는 길택(吉宅)에 길상(吉相)의 건물(建物)로 건축(建築)하여 제대로 된 배치(配置)를 하면 피해(被害)가 최소화(最小化) 될 것이다.

 

사례적용을 함에 있어 연구의 방법으로는 각각의 사례에 대한 위치도(位置圖)와 등고선도(等高線圖) 그리고 현장사진(現場寫眞)을 각각 사용하였다. 여기서 위치도에서는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고 이것을 등고선 지도상에서 혈판(穴板)과 청룡(靑龍)과 백호(白虎) 그리고 안산(案山)이나 조산(朝山)과 조산(祖山)등의 각각 산(山)을 혈판(穴板)을 중심으로 표시하여 현장사진과 함께 비교를 하는 방법을 택하여, 혈이 되는 자리의 주위 사격(砂格)과 입수절(入首節)을 위주로 하여 하락수(河洛數)의 계산에 따른 발복(發福)이 주로 많이 되는 생(生)을 보고자 하였다.

 

풍수지리 이론은 주역(周易)의 이론과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의 이론이 결합하여 완벽한 체계를 이루고 있으며, 그리고 풍수지리 이론은 산(山)의 기운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출발하는데 이 과정에서 주역의 기(氣) 이론이 적용되는 것이다.10]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음택(陰宅)과 양택(陽宅)의 이론을 전개하기 전에 기(氣), 음양오행(陰陽五行), 주역의 이론인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 대하여 먼저 보고자 한다.

 

 

4]장용득, 명당론전집, 신교출판사: 서울, 1976, pp5-6.

5]본 논문 작성자의 편의에 의하여, 1976년에 출간된 ‘하남(河南) 장용득(張龍得)’의 ‘명당론 전집(明堂 論 全集)’을 약칭하여 ‘하남(河南) 풍수이론(風水理論)’이라 함.

6]노무현<1946.8.6.(음력) - ): 경남 진영 출생, 2002.12.19. 제16대 대통령선거 당선, 2003.2.25. 제16 대 대한민국 대통령 취임.

7] 이병철(1910.2.12.-1987.11.19.): 경남 의령 출생, 1938년 삼성상회(2003 현재 삼성그룹 전신)설립.

8]장용득, 명당론전집, 신교출판사: 서울, 1976, p127.

   장용득, 명당론전집, 신교출판사: 서울, 1976, p153.

9]장용득, 명당론 전집, 신교출판사: 서울, 1976, p195.

최근에 화장율이 계속하여 높아지는 것은 오히려 흉지(凶地)에 조상을 모시는 것보다는 후손에게 훨씬 더 피 해(被害)가 적다고 함. 2001.12.31.기준으로 전국의 화장율(火葬率)은 38.5%임.

자료: ①http://www.mrmpark.co.kr/bbs_image/전국장사시설통계(2001.12.31기준).hwp. ②한국경제신문 2003년 7월 25일자 C1면.

10]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일빛: 서울, 2001, p20

 

 

제2장 풍수지리 이론의 기초

 

제1절 동기 감응론

 

1.기(氣: Chi, Qi)란 무엇인가?

 

기(氣)란 “현상계(現象界)에 있는 모든 존재 또는 기능의 근원”이라고 표현 할 수 가 있다. 기(氣)는 생명의 근원(根源)이기도 하며 그리고 생명체(生命體)는 기(氣)가 취합(聚合)된 것이다. 11]

 

기(氣) 자체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기(氣)는 응집하면 모양을 이루고 고정되어 오관(五官)으로 감지되는 물체로 화(化)한다. 그러나 기(氣)가 확산되면 모양이 없어져서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가 된다.12]

 

기(氣)를 과학적인 용어로는 “에너지의 흐름” 또는 “에너지”라고 말할 수 있다.13] 그리고 장자(壯子)에 이르기를 “사람은 기(氣)가 모여서 태어나고, 기(氣)가 흩어지면 죽게 된다”14]고 하였다. 이렇듯 기(氣)는 모든 현상의 근원(根源)이자 에너지(energy)라 할 수 있다.

 

동기감응(同氣感應)을 설명함에 있어 위의 기(氣)의 정의를 중심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과학자(科學者)의 입장과 풍수학자(風水學者)의 입장이 다르지 않음을 보이고 있기에 기(氣)의 설명(說明) 논리(論理)는 같다고 볼 수 있다.

 

11]마루야마 도시아끼(박희준 옮김), 기(氣)란 무엇인가, 정신세계사: 서울, 1989, p27.

12]마루야마 도시아끼(박희준 옮김), 기(氣)란 무엇인가, 정신세계사: 서울, 1989, p248.

13]이충웅, 한반도에 氣가 모이고 있다, 집문당: 서울, 1997, pp11-12.

14]강진수, 수맥과 현대인의 건강, 새벽소리: 서울, 2002, p17.

 

 

2.동기감응(同氣感應)이란

 

(1)동기감응의 일반이론

 

묘(墓)의 좋고 나쁜 기운이 후손들에게 끼치는 영향을 발복(發福)이나 동기감응(同氣感應)이라고 하는데 이는 조상(祖上)과 후손(後孫)은 같은 혈통관계로 같은 유전인자(遺傳因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감응(感應)을 일으킨다는 이론이다.

 

동양철학에서 기(氣)는 우주의 본원으로 어느 곳이든 없는 곳이 없고(무소부재:無所不在), 새로 생기지 않고 없어지지도 않으며(불생불멸:不生不滅), 시작도 끝도 없는 것으로(무시무종:無始無終)하여 불변형질(不變形質)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17세기 영국의 물리학자 뉴우튼(Newton)의 에너지 불변의 법칙과 일치한다.15]

 

이는 또한 “사람이 죽으면 기(氣)가 흩어져 우주공간으로 돌아가 다른 형태의 기(氣-에너지)로 변한다. 따라서 우주공간에 들어 있는 에너지의 총량, 즉 우주공간에 있는 기(氣)의 절대량은 일정하다.”라고 주장하는 과학자의 주장과도 일맥상통 한다.16]

 

존재(存在)하는 모든 사물(事物)은 존재를 위한 에너지(氣)를 가지고 있으며 이 에너지는 고유(固有)의 파장(波長)을 가지고 같은 파장과 반응하려는 특성이 있다. 비록 유골이라 할지라도 존재하는 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파장을 일으켜 반응하려는 작용을 하는데 그 상대는 자신과 유전인자가 똑같은 자손이다. 이는 방송국 주파수의 라디오나 T.V.채널은 같은 주파수(周波數-전자파장:電子波長)끼리만 송신(送信)과 수신(受信)이 가능하듯이 조상(祖上)의 유골(遺骨)도 동일(同一)한 유전인자(遺傳因子)를 가진 자손(子孫)에게만 파장(波長)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유골이 좋은 환경에 있으면 좋은 기(氣)를 발산(發散)하여 자손이 좋은 기를 받을 것이고 나쁜 환경에 있으면 나쁜 기(氣)를 발산하여 자손이 나쁜 기(氣)를 받는다는 것이 동기감응론(同期感應論)이다.17]

 

동기감응(同氣感應)을 받아들이는 속도(速度)와 용량(容量)은 나이가 어릴수록 강하고 나이가 들수록 약하며 그리고 감수성이 예민한 어린이들이 어른들 보다 사물을 받아들이는 속도(速度)와 양(量)이 빠르고 많듯이 염색체(染色體)인 정자(精子)나 난자(卵子)는 거의 100% 가까이 조상(祖上) 에너지를 받아들이는데, 이는 같은 기(氣)를 어린아이 일수록 많이 받아들이고 나이가 들수록 적게 받아들이는데 이러한 것을 동기감응론(同氣感應論)이라 한다. 따라서 묘(墓)를 쓰고 태어난 자손(子孫)이 조상(祖上) 에너지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그러나 화장(火葬)을 한 유골(遺骨)은 고유의 에너지(氣)를 가지는 것이 이미 파괴가 되었기 때문에 고유의 파장(氣)을 가지지 않기에18] 화장을 한 유골에는 각종 염(炎)이 없고, 화장을 하지 않고 매장한 유골은 이장(移葬)하는 현장에서 보면 각종 염(炎)이 대부분의 유골에서 나온다. 물론 같은 유골이라 하더라도 명당(明堂)에 묻힌 유골을 이장하는 현장에서 관찰하여 보면 각종 염이 전혀 나오지 않아 후손에게 좋은 영향을 미쳐 동기감응(同氣感應)이 됨에 좋은 기(氣)를 후손들이 받기에 그러한 것이다. 이는 '조상(祖上)과 그 후손(後孫)이 체질(體質)이 같기 때문에 서로 기(氣)가 통한다’는 것으로 비록 조상(祖上)의 유골(遺骨)이 땅속에 있지만 조상의 시신(屍身)에서 나오는 일종의 전파(電波-기운:氣運)가 그 후손에게 전달되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동기감응(同氣感應)인 것이다.19]

 

15]김민정, 부동산 가격과 풍수지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부동산학과 석사 학위논문: 서울, 2001, p57.

16]이충웅, 한반도에 氣가 모이고 있다, 집문당: 서울, 1997, p13.

17]장용득, 명당론 전집, 신교출판사: 서울, 1976, pp50-51.

    김강동, 이준기, 지리진보(전편), 계축문화사: 서울, 1978, pp29-31.

18]서진화, 자연의 섭리 땅의 이치 풍수지리, 범조사: 서울, 2001, 152.

19]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일빛: 서울, 1999, p171.

 

 

(2)금낭경(錦囊經)의 동기감응론

 

중국 한나라 ‘미앙궁’에서 어느 날 저녁 아무 이유 없이 종(鍾)이 스스로 울렸다. ‘동방삭’이 있다가, 반드시 구리광산이 무너진 일이 있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멀지 않아 ‘서촉’땅 ‘진령(秦嶺)’에 있는 구리광산이 무너졌다는 소식이 왔는데 날짜를 헤아려보니 바로 ‘미앙궁’의 종이 울린 그 날이었다. 이에 황제가 ‘동방삭’에게 어떻게 그 일을 알 수 있었느냐고 물으니 ‘동방삭’이 대답하기를, “무릇 종은 구리로 만든 것이고 구리는 구리광산에서 나온 것입니다. 그러니 두 기(氣)가 감응(感應)하는 것은 마치 사람이 그 부모(父母)로부터 몸을 받는 것 과 마찬가지 이치입니다”라고 하였다. 황제(皇帝)가 감탄하여 소리치기를, “물체의 짝지음도 그러할진대, 하물며 사람에게 있어서 이겠는가, 귀신에게 있어서 이겠는가” 하였다.20]

 

또 이렇게도 설명하였다. 구리가 태어난 광산이 무너짐에 따라 그 구리로 만든 종이 스스로 우는 것은 마치 부모(父母)의 유해(遺骸)와 같은 기(同氣)인 자손에게 복(福)을 입힘과 같은 것이니 이는 모두 自然의 이치인 것이다.21]

 

20]성필국, 명당과 생활풍수, 홍신문화사: 서울, 1996, p41.

  <동산서붕령종동응(銅山西崩靈鍾東應): 동산과 구리로 만든 종은 동질이므로 서로 감응이 된다.>

21]최창조, 청오경․금낭경, 민음사: 서울, 2003, p65.

 

 

(3)기(氣): 승풍즉산(乘風則山), 계수즉지(界水則止)22]

 

기(氣)는 “바람을 타면 흩어지고, 물을 만나면 그친다”는 것으로 땅속에서 나오는 기(氣)는 바람을 타면 흩어지고, 물을 만나면 멈추는데 기(氣)가 흩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장풍(藏風)이 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장풍(藏風)이란 바람을 막아 주는 것이 아니라 바람을 감춘다”는 것으로서, 즉 혈(穴)의 좌우(左右)에 있는 청룡(靑龍)과 백호(白虎)와 주위에 있는 산(山)들이 보국(保局)이 잘되어 혈을 보호하여 주면 그 안에 있는 기(氣)는 장풍이 되어 흩어지지 않는 다는 것이다.

 

또한 생기(生氣)는 물과 경계를 이루면 물이 기(氣)를 막아 주기 때문에 빠져 나가지 못하고 머물게 되어 혈(穴)이 맺어 지게 되는데, 물(水)과 기(氣)는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용(龍)이 꿈틀거려 사룡(死龍)이 아닌 생룡(生龍)이 되면 여기에 혈(穴)이 되는 것이다.

 

22]Larry Sang, The Principles of FengShui, The American FengShui Institue: Califonia, 1999, pp2-3.("Qi", disperse while riding with the wind, stall when reaching the edge of water). 성필국, 명당과 생활풍수, 홍신문화사: 서울, 1996, p39.

 

 

(4)동기감응의 과학적인 실험자료.

 

동기감응을 실험한 부산 동의대 ‘이상명’ 교수(敎授)는 성인(成人) 남자(男子) 3명의 정액(精液)을 채취하여 3개의 시험관에 넣고 정밀한 전압계를 각각 설치하였다. 그 다음에 이들 남자 3명을 옆방으로 데리고 가서 차례로 전기 쇼크를 가하는 실험을 했다. 그러자 전기쇼크를 받는 사람의 정액에 부착된 시험관의 바늘도 동일한 시각에 움직였으며, 미세한 전위차가 나타났다. 이 실험은 T.V.에도 방영이 되었는데, ‘이상명’ 교수는 피실험자의 몸밖으로 배출된 정자는 피실험자와 동일한 전자 스핀(spin)23]을 갖고 있는데 이 때문에 전자기적 공명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24]

 

위에서 검토한 것에서 보듯이 동기감응(同氣感應)의 각각의 설명의 과정은 각각 다르나 “같은 기(氣)는 같은 기(氣)에 반응(反應)한다”(同氣感應)는 결론은 동일함을 볼 수 있다.

 

음양설(陰陽說)과 오행설(五行說)은 초기에 각각 발생하였다. 그러나 음양설(陰陽說)과 오행설(五行說)이 서로 결합(結合)할 수 있었던 것은 두 철학이 모두 자연에 대한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인 이론(理論)에서 출발한다는 공통점(共通點) 때문이다.25]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음양설(陰陽說)을 먼저 고찰하여 본 후에 오행설(五行說)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3]전자스핀: 전자는 핵 주위를 도는 운동 외에 자기 무게중심을 지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이 자전운동을 스핀(spin)이라 한다.(야후 백과사전: http://kr.yahoo.com)

24]김민정, 부동산 가격과 풍수지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부동산학과 석사 학위논문: 서울, 2001, p58.

25]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일빛: 서울, 1999, p45.

 

 

제2절 음양설(陰陽說)

 

삼라만상(森羅萬象)은 음양(陰陽)의 조화(造化)에서 생성(生成)하고 존재(存在)하며 운동(運動)하고 변화(變化)하는 것이다. 양(陽:Yang)은 태양(太陽)이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형상으로서 ‘햇빛’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글자라는 것과, 또한 우리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의 정신은 이 화(火-양:陽)에서 공급되는 ‘빛’과 ‘열’을 먹고 살아 가는 것이며 또한 양(陽)은 남성(男性)과 생명(生命)과 흰색(white)을 상징한다. 음(陰:Yin)은 ‘어둡다’는 의미로 ‘구름’이 ‘햇빛’을 가리어 어두운 상태를 말하는 밤(black)과 죽음과 겨울과 여성(女性)을 상징하는데 인간(人間)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生命體)의 육신(肉身)은 그 음(陰)에서 생성(生成)되는 ‘물질(物質)’을 먹고 살아가며 음(陰)은 수(水)에 속한다.26]

 

음․양(陰․陽)의 독립적인 의미는 태양(太陽)의 주기(週期)에 따라 밝고 어두움에 변화를 일으키므로, 점차 독립(獨立)된 음․양(陰․陽)은 ‘음양(陰陽)’으로 결합(結合)하면서 낮과 밤의 변화와 계절의 주기 그리고 시간(時間)의 변화 과정을 의미하게 되었고, 시간적(時間的)으로 변화하는 모든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으로 된 것이다. 27]

 

태극(太極)에서 먼저 양(陽)이 동(動)하여 나오고 그 다음에 음(陰)이 정(靜)하여 나오는데, 양(陽)이 먼저 나와서 하나를 긋는 것을 ‘양의(陽儀:−)’라 하고, 두 번째로 음(陰)이 나와서 둘로 나누는데 이를 ‘음의(陰儀:?)’라 한다. 그리하여 밤과 낮이 하루를 이루지만 음(陰)인 밤(夜)과 양(陽)인 낮(晝)으로 나뉘듯이 태극(太極) 하나에서 음양(陰陽)이 나오는 것이다.

 

또한 양(陽)은 동(動)이요 음(陰)은 정(靜)이므로 동(動)이 다하면 정(靜)이 생기게 되니 이는 곧 동중유정(動中有靜)이오, 정(靜)이 다하면 동(動)이 생기게 되니 이는 곧 정중유동(靜中有動)이다. 이는 음양 동정불식(陰陽 動靜不息)의 이치(理致)인 것이다.

 

태극(太極)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음양(陰陽)이 있고 음양(陰陽)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태극(太極)이 있는 것이다. 즉 하나의 태극(太極)에서 둘의 음양(陰陽)이 나오는 법칙(一生二法)이며 음양(陰陽)이 합(合)하여 하나를 내니 둘에서 다시 하나가 나오는 법칙(二生一法)인 것이다.28]

 

 

<표 2-1:음양의 구분(陰陽의 區分)>29]

 

양(陽)

하늘(天)

남자(男子)

밝음(明)

동(動)

지배(支配)

음(陰)

?

땅(地)

여자(女子)

어둠(暗)

정(靜)

피지배(被支配)

 

 

음양오행(陰陽五行)은 서로 상극(相剋)이 아니라 상대적(相對的)이기 때문에 서로 배합(配合)하고 보완(補完)하고 조화(造化)를 이루어 만물(萬物)이 창조(創造)되고 형성되는 것이다. 즉 구동필정(久動必靜)과 구정필동(久靜必動)을 말하는 것이다.30]

 

26] Larry Sang, The principles of FENG SHUI, The America Feng Shui Institute: California America, 1999, p9. 27]신천호, 음양오행의 개론, 명문당: 서울, 1996, pp9-10.

박정윤, 음양오행설의 성립과 그 이론적 배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1, pp6-8.

28]장용득, 명당론 전집, 신교출판사: 서울, 1976, pp48-49.

   김석진, 대산주역강의(1), 한길사: 서울, 2001, pp66-69.

29]성필국, 명당과 생활풍수, 홍신문화사: 서울, 1996, p63.

30]Larry Sang, The principles of FENG SHUI, The America Feng Shui Institute: California, 1999, p10.

  <원문인용: Lengthy Activity(Yang) is followed by Stillness(Yin),

  Prolonged Dormancy(Yin) always results in Mobility(Yang)>.

 

 

--  이하부터  주의 내용이 출처를 표기한 것이 대부분으므로 생략 --

 

 

제3절 오행설(五行說)

 

풍수지리이론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오행설(五行說)의 전개는 먼저 오행(五行)의 기본적(基本的)인 속성을 보고난 후에 오행(五行)의 작용(作用)인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의 원리를 보고자 한다.

 

1.오행(五行)

 

오행(五行)은 늘 다섯 번의 절차(節次)를 거치는데 이를 하늘에서 찾으면 수기(水氣)․화기(火氣)․목기(木氣)․금기(金氣)․토기(土氣) 즉 오기(五氣)가 움직이는데, 수기(水氣)는 추운 것, 화기(火氣)는 더운 것, 목기(木氣)는 따듯한 것, 금기(金氣)는 서늘한 것, 토기(土氣)는 습한 것인데 오행(五行)이 가지 못하는 생물(生物)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1)오행(五行)의 개념(槪念)

 

오행(五行)은 순서적으로 보면 물(水:Water)․불(火:Fire)․나무(木:Tree)․쇠(金: Metal)․흙(土: earth)으로 나타내는데 즉 수화목금토(水火木金土)를 말하는 것으로 먼저 물(水)의 오행의 성질(性質)부터 보고자 한다.

 

모든 생물(生物)이 액체(液體)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오행(五行) 중에서 맨 먼저 나오는 것이 물(水)인데 물(水)은 액(液)만 있지 기운(氣運)은 없기에 유액무기(有液無氣)인데 이를 수(水:Water)라 한다. 그 다음은 불(火)은 유기무형(有氣無形) 즉 기(氣)만 있고 모형(模形)이 없는 것을 이르고, 셋번째 나무(木)는 유형무질(有形無質) 즉 형상(形狀)은 있는데 질(質)이 없는 것을 말하고, 네 번째 쇠(金)는 유질무체(有質無體) 질(質)은 있는데 체(體)가 없는 것을 금(金)이라 한다. 다섯 번째 흙(土)은 유질유체(有質有體) 즉 형상(形狀)과 질(質)을 다 갖춘 것을 토(土)라고 한다.

 

순서적으로 보면 일왈수(一曰水)요 이왈화(二曰火)요 삼왈목(三曰木)이요 사왈금(四曰金)이요 오왈토(五曰土)인 것이다. 맨 먼저 물(水) 그 다음에 불(火) 다음에 나무(木) 다음에 금(金) 맨 나중이 토(土)인 것이다.

 

오행(五行)인 수화목금토(水火木金土)의 각각의 기운(氣運)을 보면 다음과 같다.

 

1)물(水:Water)의 성질: 겨울(冬), 중력.

수(水)는 물의 기운으로서 내려가는 기운(윤하:潤下)이다. 모든 물체는 아래로 떨어지려는 성질을 갖는데 이를 중력(重力)이라 하고 또한 물(水)은 겨울(동:冬)의 기운(氣運)을 갖는다. 겨울에는 온도가 아래로 내려가고 생명체는 활동력이 거의 정지된다. 이는 다음 기간까지 생명을 준비하는 것을 뜻한다.

 

2)불(火:Fire)의 기운: 여름(夏), 열에너지.

화(火)의 기운은 불꽃과 같이 사방팔방으로 기운이 폭발되어 확산되는 힘(기운:氣運) 즉 위로 계속 타 올라가는 성질(염상:炎上)을 가지고 있는데, 태양열(太陽熱) 같은 기운이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름에 나무가 무성해 지고 꽃이 만발하는 것도 그 힘을 확산하려는 현상이다.

 

3)나무(木:Tree)의 성질: 봄(春), 원심력.

나무(木)는 굽은 것도 있고 곧은 것(곡직:曲直)있다. 그리하여 나무는 수직 상승하는 기운을 갖는다. 하늘로 올라가려는 성질이다. 목(木)의 기운은 또한 원심력의 기운을 가지면서 봄에 해당한다. 솟아오르는 생명력(生命力)이 바로 목(木)의 기운(氣運)인 것이다.

 

4)쇠(金:Metal)의 기운: 가을(秋), 구심력.

쇠(金)는 캐내어 두들겨 고치는 것(종혁:從革)인데 그리하여 금(金)의 기운은 수축하고 움츠려 들려는 기운을 금(金)의 기운이라 하고, 금(金)의 기운(氣運)은 중심점(中心點)을 향해 수축(收縮)하려는 기운(氣運)을 말한다.

 

5)흙(土:Earth)의 기운: 중심(중심), 균형.

토(土)의 기운은 수․화․목․금(水․火․木․金)의 기운을 골고루 갖고 있는 기운으로 균형(均衡)을 유지하려는 작용을 하고 서로 다른 네 기운이 분열되지 않도록 하는 포용력(包容力)을 가진다. 흙(土)에는 심고 거두는 특징(가색:稼穡)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흙(土)이 모든 생명체를 포용하는 것과 같고, 토(土)는 한 계절에서 다음 계절로 넘어가는 중간쯤을 의미한다.

 

 

(2)오행(五行)과 질병(疾病)

 

오행과 관련된 질병(疾病) 즉 인체(人體)에서 보면 오행(五行)은 ‘가지 않는 곳이 없다’하니 곧 사람 배속에 가서는 물(水)은 아래로 흘러내려 양쪽 ‘콩팥(신장)’이 되고, 불(火)은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심장’이 되고, 나무(木)는 ‘간장’이 되고, 금(金)은 ‘폐장’이 되고, 토(土)는 ‘비장’이 되는 것이다.

 

 

(3)오행(五行)과 방위(方位)

 

오행(五行)과 관련된 방위(方位)는 북(北)을 수(水)라 하는 것은 지구(地球)는 자체가 자석(磁石)임으로 북(北)은 지구(地球)의 추(樞)가 되며 자(子)는 양(陽)에 시작되는 점(시간으로는 0시)에 해당하는 동지(冬至)의 방위다. 천일생수(天一生水)라 하여 즉 지구가 처음 시작될 때 제일 먼저 물(水)이 생겨났다는 의미를 말하고 또한 이는 만물(萬物)은 물(水)로서 생(生)하는 이치(理致)를 적용(適用)하였기 때문에 북(北)을 자(子)라하고 수(水)의 방위(位置)로 정하였던 것이다.

 

동(東)을 목(木) 이라 하는 것은 지구(地球)의 자전(自轉)으로 태양(太陽)이 동(東)쪽에서 뜨게 되었기 때문에 제일 먼저 햇빛의 따듯한 온기를 받기 시작하여 수목의 생장이 촉진됨으로서 그 이치에 따라 수생목(水生木)이라 보고 목(木)을 동(東)에 배정한 것이다.

 

남(南)을 화(火) 의 위치로 한 것은 성하(盛夏)의 하정(夏精)을 받아 수목이 무성하게 됨으로 이 이기(理氣)에 쫓아 목생화(木生火)로서 화(火)를 남(南)쪽에 속하게 한 것이다.

 

서(西)를 금(金) 이라 하였음은 결실된 오곡백과(五穀百果)가 누렇게 익어 온 천하가 황금색으로 빛을 갖게 하는 것으로 인하여 토생금(土生金)이라 보고 금(金)을 서(西)쪽에 두었다.

 

토(土)를 가운데(中央) 에 둔 것은 만물(萬物)은 토(土)에서 생성(生成)하는 것이므로 동서남북(東西南北) 아무 곳이나 있으면서도 반면 무처불입(無處不入)하는 고로 낙엽이 떨어져 뿌리에 영양을 주고 과실(果實)이 떨어져 흙에서 새싹이 나는 이치에서 토(土)를 중앙(中央)에 속하게 하였던 것이다.

 

 

(4)오행(五行)과 수(數)

 

오행(五行)과 수(數)와의 관계를 보면 동양철학(東洋哲學)에서는 천지순환(天地循環)의 운수(運數)를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의 수리(數理)를 추구(推究)하여 천지개벽(天地開闢)의 첫 시발점(始發點)으로 현(現) 지구(地球)의 북극(北極)을 규정하였다.

 

그러므로 첫 숫자(數字)도 북(北)을 1의 수(數)로 지정하여 동서남북(東西南北) 사방(四方)과 중앙(中央)에, 양(陽)의 수(數)이면서 홀수인 천수(天數:the Heaven number)인 1․3․5․7․9의 이십오수(1+3+5+7+9)와, 음(陰)의 수(數)이면서 짝수인 지수(地數:the Earth number)인 2․4․6․8․10의 삼십수(2+4+6+8+10)를 각각 배정(配定)하였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정북(正北)을 기점(起點)으로 정하여 1의 숫자(數字)와 수(水)의 위치가 되었던 것처럼, 물의 존재도 땅의 흙이 있어야 진수(眞水)의 성분을 나타내므로 천수(天數) 1과 중앙토수(中央土數) 5를 合하여 지수(地數) 6의 천지배합수(天地配合數)가 되는 것이므로 북(北)의 1․6 수(水)의 수(數)라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식으로 동(東)의 3․8 목(木)의 수(數)와, 남(南)의 2․7 화(火)의 수(數)와, 서(西)의 4․9 금(金)의 수(數)와, 중앙(中央)의 5․10 토(土)의 수(數)라 하는 것이다.

 

 

(5)음양오행(陰陽五行)의 작용(作用)

 

위와 같이 음양(陰陽)의 변화와 오행(五行)의 상생상극(相生相剋)으로 정기(精氣)가 묘합(妙合)하여 만물(萬物)이 화생(化生)하기도 하고, 극기(克氣)가 상충(相沖)하여 만물(萬物)이 소멸(消滅)되기도 하는 것이다.

 

<표 2-2: 오행(五行)의 기운(氣運)>

구분(區分)

방위(方位)

西

中央

계절(季節)

겨울(冬)

여름(夏)

봄(春)

가을(秋)

四季節

가족(家族)

중남(中男)

중녀(中女)

장남(長男)

장녀(長女)

노부(老父) 소녀(少女)

노모(老母)

소남(少男)

질병(疾病)

신장

심장

간장

폐장

비장

숫자(數字)

1, 6

2, 7

3, 8

4, 9

5, 10

 

 

2.오행(五行)의 작용(作用)

 

오행(五行)의 작용(作用)은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으로 나누어지는데, 상생(相生)은 오행이 서로 화합(和合)하여 도와주는 작용을 하는 것을 말하고, 상극(相剋)은 서로 극하여 억압하는 작용을 하는 것을 이른다.

 

(1)오행(五行)의 상생(相生)

오행(五行)의 상생(相生)의 작용은

첫째로 물이 있어야 나무가 자랄 수 있으며(수생목:水生木),

둘째로 나무가 있어야 불이 탈수 있으며(목생화:木生火),

셋째로 불이 타버린 뒤에 흙이 생기고(화생토:火生土),

넷째로 흙이 있어야 금이 생길 수 있고(토생금:土生金),

그리고 다섯째로 금이 있어야 물이 생길 수 있는 것이다(금생토:金生水).

(水生木,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金生水: 水-木-火-土-金).

 

 

 

 

 

 

 

 

 

金生水    쇠(돌,바위)는 물을 생성한다.
水生木  물은 나무를 생성한다.
木生火  나무는 불을 생성한다. 
火生土    불은 흙을 생성한다.
土生金  흙은 쇠(동,바위)를 생성한다.

 

<그림 2-1: 오행(五行) 상생도(相生圖)>

 

 

(2)오행(五行)의 상극(相剋)

오행(五行)의 기운에서 각각 싫어하는 기운이 있는데 이러한 관계를 상극(相剋)이라고 한다.

 

흙은 물을 막으며(토극수:土剋水),

물은 불을 끄고(수극화:水剋火),

불은 쇠를 녹이며(화극금:火剋金),

쇠는 나무를 베고(금극목:金剋木),

나무는 흙을 이긴다(목극토:木剋土).

(土剋水, 水剋火, 火剋金, 金剋木, 木剋土: 土-水-火-金-木)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金剋木    쇠로 나무를 찍을 수 있다.
木剋土  나무는 흙에다 뿌리를 박고 산다.
土剋水  흙으로 물길을 막을 수 있다. 
水剋火    물은 불길을 끌 수 있다.
火剋金  불은 쇠붙이를 녹일 수 있다.

 

<그림 2-2: 오행(五行) 상극도(相剋圖)>.

 

 

 

 

 

 

 

 

 

五行의 相生相剋圖

 

 

 

 

제4절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하도(河圖)’는 시간적(時間的)이 면을 이르나 ‘낙서(洛書)’는 공간적(空間的)인 면을 말하는 것으로, 하도(河圖:하도의 숫자의 合:55)의 중앙에는 모든 사물이 생성 변화하는 법칙을 표시한 것이므로 10을 표현하지만, 낙서(洛書:낙서의 숫자의 合:45)는 형태가 이루어진 사물의 모습을 표시하기 때문에 형상이 없는 수인 10은 드러나지 않고 이는 또한 변화작용에는 0이 필요하지만 이미 변화가 이루어진 사물에는 0이 필요 없음을 말함이다.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의 설명에 있어 체(體)와 용(用)이 변화하듯이 그때그때의 상황 따라 자연(自然)의 법칙(法則)이 변화를 하듯이 변화를 하는 것이다.

 

복희팔괘(伏羲八卦)는 하도(河圖)의 형식대로 그은 것이 아니고 그 속뜻을 표현한 것이고, 복희팔괘(伏羲八卦)와 문왕팔괘(文王八卦)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가 서로 다른 것과 똑같은 형식이라고 할 수는 없으나, 그 원리(原理)의 측면(側面)에서는 같다는 점에서 본 호에서는 같이 다루기로 한다.

 

 

1.하도(河圖): 복희팔괘(伏羲八卦), 선천팔괘(先天八卦)

 

(1)하도(河圖)의 유래와 의미

하도(河圖)는 고대 중국의 복희씨(伏羲氏)가 황하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나타나 있는 55개의 점을 보고서 8괘를 만든 것에서 유래를 하였는데, 이 8괘에서 복희씨(伏羲氏)는 우주만물이 오직 1에서 10까지 10수안에 존재하고 있다고 하는데서 유래한 하도(河圖)의 원리는 ‘하도(河圖)안’에 있는 1에서 5까지의 수(數)를 생(生)하는 수(數)라고 해서 ‘생수(生數)’라 하고 ‘하도(河圖)밖’에 있는 6에서 10까지를 이루는 수(數)라고 해서 ‘성수(成數)’라고 하는 것을 하도(河圖)라 이른다.

 

 

(2)하도(河圖)에서 팔괘(八卦)의 방위배치(方位配置)

겉모습을 나타난 복희팔괘(伏羲八卦)에서 하늘-위, 땅-아래라는 공간적(空間的)인 위치(位置)로 배치되었다. 그리하여 남(南)에는 건천(乾天)․북(北)에는 곤지(坤地)․동(東)에는 이화(離火)․서(西)에는 감수(坎水)를 배치하였다.

 

 

 

 

 

 

 

 

 

 

 

<그림 2-3: 하도(河圖): 복희 선천팔괘 방위도(伏羲 先天八卦 方位圖)>

 

 

2.낙서(洛書): 문왕팔괘(文王八卦), 후천팔괘(後天八卦)

 

(1)낙서(洛書)의 유래와 의미

 

낙서(洛書)는 중국의 고대 하(夏)나라의 우왕(禹王)이 홍수를 다스릴 때 낙수(洛水)라는 강물에서 신령한 거북이 나왔는데 이 거북의 다리와 머리 그리고 등껍질에 구궁(九宮)의 수(數)를 짊어지고 나온 것을 낙서(洛書)라 한다. 하도(河圖)와 용마(龍馬)는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이고 낙서(洛書)와 거북(龜)은 형이하학적(形而下學的)이라고 하는 것은 낙서(洛書)의 낙수(洛水)는 실제로 있는 것이라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낙서(洛書)는 가운데 5를 중심으로 하여 네 정방에 양수(陽水-천수:天數:1․ 3․5․7․9)가 자리하고 그 사이의 방위(方位)에 음수(陰水-지수:地數:2․4․6․8)가 있어서 양(陽)이 주체가 되고 음(陰)이 도와주는 모습이다.(양주음보: 陽主陰輔)

 

 

(2)낙서(洛書)에서 팔괘(八卦)의 방위배치(方位配置)

 

속마음을 나타낸 문왕팔괘(文王八卦)는 시간적(時間的)인 개념(槪念)인 봄․여름․가을․겨울의 성질(性質)로 배치가 되었다.

남(南)쪽에 리괘(불-이화:離火)를 여름으로

북(北)쪽에는 감괘(물-감수:坎水)를 겨울로 보았고,

그리고 동(東)쪽에는 진목(震木)의 봄으로 서(西)쪽에

태금(兌金)의 가을로 보아 각각 배치하였다.

 

 

 

 

 

 

 

 

<그림 2-4: 낙서(洛書): 문왕 후천팔괘 방위도(文王 後天八卦 方位圖)>

 

 

 

3.선천팔괘(先天八卦)

 

“태극이 생양의(太極이 生兩儀)라”는 뜻은 태극(太極)에서 음양(陰陽-양의:兩儀)이 나왔고 또 음양(陰陽)에서 사상(四象)인 태양․소음․소양․태음이 나오는데, 이는 하나에서 둘이 나오는 법칙(法則)인 일생이법(一生二法)으로 태극(太極)에서 양의(兩儀-음양:陰陽)가 나오는데 이 양의(兩儀)는 상(象)이 나타나기 전의 무형(無形)의 상태를 의미하고, 이러한 일생이법(一生二法)은 계속 적용되어 양의(兩儀)가 이이(二二)는 사(四)이니 사상(四象)을 낳고 이 사상(四象)은 건축물의 네 기둥을 세워놓은 상태라고 할 수 있고 또 사상(四象)은 이사(二四)는 팔(八)이니 팔괘(八卦)를 낳고 또 이 팔괘(八卦)는 사상(四象)이 더 진전되어 형체(形體)를 이루었다는 뜻을 표현한 것이고, 팔괘(八卦)가 또 십육괘(十六卦)를 낳고 십육괘(十六卦)가 삼십이괘(三十二卦) 나아가 육십사괘(六十四卦)까지 나오는 것이다.

 

위로는 하늘(天) 아래로는 땅(地) 그 중간을 사람(人)으로 해서 천(天)․지(地)․인(人) 삼재(三才)로 괘(卦)하나를 그렸는데, 하나는 양(陽:−)이고 둘은 음(陰:?)인데 이것은 하늘(天)은 하나로 둥글고 땅(地)은 수륙(水陸)으로 갈라져 있기 때문이고 또 양(陽)이 먼저 나오고 동적(動的)인 반면에 음(陰)은 양(陽) 다음에 나오고 정적(靜的)인 것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먼저 나와 한 획을 그은 양(陽)이 양적 동물의 성기가 되어 능동적(能動的)이 되고 두 번째 나와 나누어 그은 음(陰)이 음적 동물의 성기가 되어 수동적(受動的)이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정적(靜的)인 음(陰)이 동적(動的)인 양(陽)을 받아들여 생물을 잉태(孕胎)하는 것이다.

 

이것을 인간(人間)에 비유하자면 하늘괘(☰)는 아버지(父, 일건천:一乾天:☰:하늘)가 되고, 땅괘(☷)는 어머니(母, 팔곤지:八坤地:☷:땅)가 된다.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에 있는 양(陽)은 아들이고, 음(陰)은 딸인데,

맨 먼저 나오는 아들이 장남(長男, 사진뇌:四震雷:☳:우레)이 되고,

두 번째 아들이 중남(中男, 육감수:六坎水:☵: 물)이 되고,

세 번째 아들이 소남(少男, 칠간산:七艮山:☶:산)이 된다.

그리고 맨 먼저 나오는 딸은 장녀(長女, 오손풍:五巽風:☴:바람)가 되고,

두 번째 딸은 중녀(中女, 삼리화:三離火:☲:불),

세 번째 딸은 소녀(少女, 이태택:二兌澤:☱:못)가 된다.

물론 팔괘(八卦)의 경우는 복희씨(伏羲氏)가 그려서 된 것 이지만 자연원리(自然原理)에 따라 배열되는 것이다.

 

 

<그림 2-5: 선천팔괘 차서도(先天八卦 次序圖)>

 

 

 

4.하도(河圖)와 낙서(洛書)의 상호작용(相互作用)

 

‘하도(河圖)’에 10수가 다 있지만 오히려 생(生)하는 양(陽)의 시대(음체양용:陰體陽用)이고, ‘낙서(洛書)’는 비록 9수만 쓰지만 극(剋)하는 음(陰)의 시대(양체음용:陽體陰用)이다. 이를 시간(時間)으로 말하자면 ‘하도(河圖)’는 오전(봄․여름)이고 ‘낙서(洛書)’는 오후(가을․겨울)를 말하는데 이는 곧 ‘하도(河圖)’에 상생(相生)의 이치가 있다면 ‘낙서(洛書)’에는 상극(相剋)의 이치가 있는 말함이다. 이는 하도(河圖)와 낙서(洛書)가 따로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음양(陰陽)이 상승보완작용을 하듯이 생(生)하는 것과 극(剋)하는 것은 공존(共存)하는 것이다.

 

<표 2-3: 하락수(下洛數)에 따른 삼합오행(三合五行)>

 

五行

下洛數

좌향(坐向)

생(生)

1․6

곤신(坤申), 임자(壬子), 을진(乙辰)

신․자․진(申․子․辰)

3․8

건해(乾亥), 갑묘(甲卯), 정미(丁未)

해․묘․미(亥․卯․未)

2․7

간인(艮寅), 병오(丙午), 신술(辛戌)

인․오․술(寅․午․戌)

4․9

손사(巽巳), 경유(庚酉), 계축(癸丑)

사․유․축(巳․酉․丑)

 

상기의 표에서 중앙(中央)의 5․10 토(土)는 각 방위(方位)에 해당하니 영수(領數)를 가산(加算)하여 추산하는데 이용하게 된다.

(*상기의 표에서 좌향은 음택 배합 입수절에 따른 길흉화복을 의미함).

 

 

 

제3장 음택 풍수지리 이론

 

제1절.음택(陰宅: Grave site) 풍수지리란

 

풍수(風水)란 바람(風)과 물(水) 즉 바람(風)은 천후․기상의 주재자이고 물(水)은 대지의 상징이다. 바람으로서 또는 바람에 따라 토출(吐出)되는 하늘(天)의 기(氣)를 대지(大地)가 받아 낸다.

바람(風)이 주(主)이고 물(水)은 종(從)이다. 이것이 곧 풍수(風水)다.

 

명당(明堂)이라 함은 산이 멈추고 물이 돌아가는 곳(산포수회:山抱水回) 즉 음양(陰陽)이 부합되어 기(氣)가 모인 길지를 말한다. 또 다른 표현으로는 명당(明堂)이란 혈(穴)이 되었을 때 혈(穴)앞의 평평한 땅을 말한다.

 

풍수지리에서 땅의 기운을 분석하는 가장 중요한 대상은 산(山)과 물(水)과 바람(風)이다. 이는 풍수의 궁극적인 목적인 좋은 산소자리(陰宅)와 좋은 집터(陽宅)의 찾음에 있고 또한 풍수(風水)에서 혈(穴)이란 기(氣)가 용맥(龍脈)을 타고 가다가 머물러 있는 곳을 말하는데 이러한 곳에 기(氣)가 머물러 있는 곳은 음택(陰宅)이든 양택(陽宅)이든 여러가지 구성요건이 있는데 이의 구성요건이 맞아 있는 곳을 산수풍(山水風)이라 하고, 이는 곧 풍수지리(風水地理)에서 혈(穴)의 조건이 되는 장풍득수(藏風得水)를 말함이다.

 

풍수지리에서는 “일척(一尺)만 높아도 산(山)이라 하고 산(山)은 지기(地氣)의 결집처(結集處)”라 한다. 여기에서 산(山)의 봉우리와 능선을 용(龍)이라 하고 용(龍)이 계속하여 산(山)의 맥(脈)을 타고 내려오는 것을 용맥(龍脈)이라 하는데 용(龍)과 용(龍)을 타고 오는 용맥(龍脈)이 산(山)의 생기(生氣)가 가장 많이 모여 있는 곳에서 혈(穴)을 맺어(結應)주어 명당(明堂)자리가 형성된다.

 

위와 같이 용(龍)이 변화에 따라 혈의 결응(結應)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간룡법(看龍法)이라 하고, 명당이 자리가 형성되어 어느 부분이 생기가 집중되어 혈(穴)이 되어 있느냐를 정하는 방법을 정혈법(定穴法), 그리고 풍수에서 바람(風)은 생기를 흩어버리는 역할을 하므로 땅속에서 발생하는 생기(生氣)를 주위(周圍)의 산세(山勢)가 보국(保局)이 되어 감싸주는 것을 장풍(藏風)이라 하는데 보국(保局)이 없으면 바람이 기(氣)를 흩어버려 결응이 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가장 전형적인 장풍법(藏風法)은 사신사(四神砂)로서 이는 좌청룡(左靑龍), 우백호(右白虎), 전주작(前朱雀), 후현무(後玄武)의 산(山)을 살피는 것으로 장풍법(藏風法) 또는 사격론(砂格論)이라고 한다.

 

풍수(風水)에서 물(水)의 기운은 직선으로 빠르게 흐르는 것은 흉(兇)한 기운이 발생하게 되고 길게 구불구불 유장(悠長)하게 흐르는 것은 길(吉)한 기운이 발생하는데, 이는 용맥(龍脈)이 가다가 물을 만나면 기(氣)가 머물게 되므로 물은 기(氣)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산수(山水)의 음양(陰陽)이 상배(相配)가 되어야 변화가 일어나 혈(穴)이 생기게 되는 원리(原理)와 같은 것으로 이를 득수법(得水法)이라 한다.

 

그 다음으론 지세(地勢)의 기운(氣運)이 방향(方向)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이를 좌향론(坐向論)이라 한다.

 

땅(山)의 조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것이 물(水)과 바람(風)이다. 바람(風)은 눈에 보이지 않으나 엄청난 양의 힘을 가지고 있고 물(水)이 없으면 어떤 생물이라도 자라지 모할 것이며 그리고 땅(山)은 모든 만물(萬物)의 주체(主體)가 되는 것이다. 이는 ‘지구를 살아 있는 개념’으로 보는 서양의 가이야(Gaia)사상과도 같은 맥락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위에서 본 것처럼 삼대(산․수․풍:山․水․風)요건이 맞는 곳은 만물이 번성(繁盛)하고 요건이 맞지 않는 곳은 만물이 쇠잔(衰殘)하니 이는 산세(山勢)의 고저(高低)․후강(厚强), 수류(水流)의 천심(淺深)․굴곡(屈曲), 풍동(風動)의 온량(溫涼)․한서(寒暑)의 영향으로 인하여 삼라만상(森羅萬象)이 흥망성쇠(興亡盛衰)와 소장변화(消長變化)가 일어나는데, 이를 풍수지리(風水地理) 이론에서 용혈사수향(龍穴砂水向)의 이론(理論)이라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용법(龍法-간룡법:看龍法), 혈법(穴法- 정혈법:定穴法), 사법(砂法-장풍법:藏風法․사격론:砂格論), 수법(水法-득수법:得水法), 향법(向法-패철론:佩鐵論)으로 분류하여 보고자 한다.

 

 

제2절 용(龍)-간룡법(看龍法)

 

간룡법(看龍法)이란 용(龍)의 흐름을 보고 산이 생기가 흐르는 산(山-생용:生龍)인지 죽은 산(山-사룡:死龍)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살아 있는 용(龍)처럼 산맥이 끊어지지 않고 생기 넘치게 뻗어 있으면 좋은 용(생룡:生龍)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용의 종류로는 용의 대소(大小), 용의 고저(高低), 용의 원근(遠近), 용의 형태(形態)를 중심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 다른 것은 원용(元龍)과 지용(支龍)의 구별로서 주산(主山)의 가장 큰 줄기를 원룡(元龍-정룡:正龍)이라 하고 그 원룡(元龍)에서 분지(分枝)된 용을 지룡(枝龍)이라고 한다.

 

용(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룡(生龍)과 사룡(死龍)의 구별, 용의 앞과 뒷(前後) 구별 등이 중요한 것으로 용(龍)의 핵심(核心)은 산의 앞(前面)에 위치한 생룡(生龍)을 찾는 것이 용(龍)을 찾는 핵심(核心)인 것이다.

 

 

 

 

 

 

 

명산산세도(明山山勢圖)

 

 

 

<그림 3-1: 명산도(明山圖)>

 

 

 

1.관산론(觀山論)

 

관산(觀山)이란 산세(山勢)의 길흉(吉凶)을 살펴 산의 왕한 기운과 쇠잔한 기운을 구별하고,

수류(水流)의 청탁(淸濁)을 살펴 길한 물과 흉한 물을 살펴 맑음(청기:淸氣)과 흐림(탁기:濁氣)을 구별하고, 풍동(風動)의 방향을 살펴 길풍의 온기(溫氣)와 흉풍의 한기(寒氣)를 구별하여 보고,

토질(土質)의 강유(强柔)와 색상(色相)의 호(好) 불호(不好)를 살피어 흉토(凶土)와 길토(吉土)로서 강한 흙이냐 무른 흙이냐를 구별하여 보고,

또한 길암(吉岩)과 흉암(凶岩)을 잘 관찰하여 귀상(貴相)과 흉상(凶相)을 구별하여 천기하림(天氣下臨)과 지기상승(地氣上昇)을 총망라하여 살펴보아,

주산(主山)의 위엄(威嚴)과 래용(來龍)의 변화(變化) 및 기세(氣勢)와 룡호(龍虎)의 자세와 안산(案山)의 응기(應氣)와 주위의 정밀 등의 보국(保局)을 보아 혈(穴)에 대한 진가(眞假)를 판단(判斷)하여 길흉(吉凶)을 최종적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래룡(來龍)이란 ‘산맥의 모든 변화 현상’을 이르는 말로 모든 용(龍)을 막론하고 주산의 총기운(總氣運)을 다 받을 수 있는 용(龍)을 원룡(元龍)이라 하고 원룡에서 분지(分枝)된 가지 용을 지룡(枝龍)이라 한다.

 

길지(吉地)에는 길산(吉山)․길수(吉水)․길풍(吉風)이 상합(相合)하여 명지(明地)로 되어 명혈(名穴)이 형성될 것이고, 흉지(凶地)에는 흉산(凶山)․흉수(凶水)․흉풍(凶風)이 상충(相沖)하여 황지(荒地)로 되어 비혈(非穴)이 될 것이다. 먼저 관산을 함에 있어 중요한 사항을 검토한 후에 각각의 산의 특징에 대해서 보고자 한다.

 

 

2.산․수․풍(山․水․風): 장풍득수(藏風得水)

 

산․수․풍(山․水․風)은 풍수(風水)에서 산의 특성인 지세를 파악함에 있어 장풍득수(藏風得水)와 그 궤를 같이 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산(山)․물(水)․바람(風)을 위주로 보되 이와 함께 관산(觀山)을 함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인 흙(土)․돌(岩)등에 대해서도 각각 보고자 한다.

 

(1)산(山) : 길산(吉山)과 흉산(凶山)

길산(吉山)이란 산이 앞면(前面)에 많이 있는 산으로, 여기서는 산․수․풍(山․水․風)이 서로 상생상합(相生相合)하여 보산(保山)과 보국(保局)이 잘되고 산의 위엄(威嚴)도 있고 서기(瑞氣)도 나며 이에 따라 바람도 길풍(吉風)이 불고 물도 이에 따라 길수(吉水)가 되는 산을 길산(吉山)이라 하는데 여기서는 사람도 흥(興)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길산(吉山)에서는 산세(山勢)가 양명(陽明)하고 순응(順應)하면 귀(貴-관직:官職)가 많이 나고, 산세가 후부(厚富)하고 보국(保局)이 풍만(豊滿)하면 주로 부(富-부자:富者)가 나고, 내룡(來龍)으로부터 지엽(枝葉)이 많으면 주로 손(孫-자손:子孫)이 많이 나는 명산(明山)인 것이다.

 

흉산(凶山)이란 주로 산의 뒷면(後面)에 많은 산으로서 산․수․풍(山․水․風)이 서로 상충상극(相沖相剋)하여 흉(凶)하게 보이는 산(山)을 이르는데 이는 보산(保山)이 되지 못한 까닭에 급기(急氣)를 벗지 못하고 불안정한 위치에서 쇠(衰)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산(山)을 이른다. 이런 흉산(凶山)에서는 산세(山勢)가 끊어지고 살국(殺局)이 되면 무후멸망(無後滅亡)하게 되고, 산세가 산산(散山)이 되고 보국이 흩어지면 파산(破産)이 되고, 산세가 험악(險惡)하고 음습(陰濕)하면 백병(百病)이 나는 산이다.

 

 

 

 

 

 

 

(2)물(水): 길수(吉水)와 흉수(凶水)

산(山)이 있으면 물(水)이 있는데 여기서의 물은 길수(吉水)와 흉수(凶水)를 말하는데, 길수(吉水)란 맑고 깨끗한 청색의 생수(生水)를 이르고 명지(明地)에 흐르는 길수(吉水)에는 청계수(淸溪水)․장강수(長江水)․만호수(滿湖水)등이 서로 상응(相應)하여 흐르고, 흉수(凶水)란 탁하고 더러운 물로서 누렇고 검게 보이는 사수(死水)를 말하는데 흉지(凶地)에 흐르는 사수(死水)는 오염수(汚染水)․탁류수(濁流水)․광탄수(狂灘水) 등이 서로 상충(相沖)하여 흐른다.

 

(3)바람(風): 길풍(吉風)과 흉풍(凶風)

바람(風)에도 길풍과 흉풍이 있는 데, 길풍(吉風)은 순하고 맑은 바람을 말하는데 명지(明地)에 부는 길풍(吉風)은 정풍(靜風)․화풍(和風)․훈풍(薰風)․온풍(溫風) 등이 상합(相合)하여 불고, 흉풍(凶風)은 탁하고 강한 바람으로서 흉지(凶地)에 부는데 흉풍(凶風)에는 살풍(殺風)․질풍(疾風)․광풍(狂風)․선풍(旋風) 등이 서로 상충(相沖)하여 분다.

 

(4)흙(土): 길토(吉土)와 흉토(凶土)

흙 즉 토질(土質)에도 살아 있는 토질인 생토(生土)와 죽어있는 토질인 사토(死土)가 있는데, 생토(生土)는 생기가 있고, 여물고, 윤기가 있고 또한 윤택하고 밝은 색으로 풍수의 조화가 잘되어 있고, 사토(死土)는 생기가 없고, 무르고, 윤기가 없는 흙으로 건조하고 흉하게 보이는 색으로 풍수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5)돌(石): 길암석(吉岩石)과 흉암석(凶岩石)

흙 속에 묻혀있는 지하석(地下石)은 음석(陰石)이라하고, 흙 위의 지상에 있는 돌은 양석(陽石)이라 하는데, 길암석(吉岩石)은 보기에 좋고 몽글 몽글하게 생긴 돌로서 윤기가 도는 돌을 이르고, 흉암석(凶岩石)은 보기도 흉하면서 길한 기운이 아닌 흉한 기운을 머금고 있는 돌을 이른다.

 

 

3. 주산론(主山論)

 

풍수지리(風水地理)는 산수풍(山水風)의 장풍득수(藏風得水)의 작용으로 인하여 이루어지는 용(龍)으로서 산(山)이 가다가 일기일복(一起一伏)하는 가운데 용맥(龍脈)이 간룡(幹龍)이 되기도 하고 가지가 생겨 지룡(枝龍)이 되기도 하면서 변화를 거듭하면서 진혈(眞穴)이 맺어 지는데, 여기에서 산의 출발 즉 용(龍)의 출발점(出發點)을 주산(主山)으로 보고자 한다.

 

주산(主山)이란 혈(穴)의 조종산(祖宗山)을 말하는데 여기에서는 산의 능선인 용(龍)을 타고서 산의 기운이 내려오면서 혈을 맺어 주는데 주산에서 내려오는 용이 생룡이 되어 용이 기복을 거듭하면서 오는 박환(剝換)과 추악한 용이 부드럽게 변화의 과정을 거치는 과협(過峽)의 과정을 밝아서 태조산(太祖山)․중조산(中祖山)․소조산(小祖山) 거쳐 오면 혈(穴)을 맺기 위한 산(山)의 기운(氣運)이 용(龍)의 흐름을 타고 와서 결혈(結穴)을 하는 것이다.

 

(1)주산(主山)

주산(主山)은 크면 클수록 좋은 산(山)으로 주산(主山)의 위세는 주위에 있는 산을 지배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양명(陽明)하고 강왕(强旺)하여야 한다. 이는 주산(主山)에서 발생된 기운이 혈(穴)까지 전달되는 과정은 태조산(太祖山)․중조산(中祖山)․소조산(小祖山)을 거쳐 입수(入首)에서 모든 힘을 모으고 있다가 혈판(穴板)으로 전달하여 주는 과정을 거치는데 중간에서 혈(穴)이 약해지거나 끊어지면 혈(穴)이 미약(微弱)하여 혈(穴)이 되지 않는다.

 

이는 태조산(太祖山)․중조산(中祖山)․소조산(小祖山)이 연결되어야만 반드시 큰 명당(明堂)이 나오는 것을 반드시 의미 하지는 않으며, 오히려 소조산(小祖山-부모산:父母山) 하나만 있어도 대명당(大明堂)이 될 수 있는 것을 알아야 하며, 주산(主山)은 주위산과 원근사격(遠近砂格)과 주빈(主賓)의 대좌형식(對坐形式)을 가지면서 주인산(主人山)의 자태(姿態)를 가진 산(山)을 이른다.

 

(2)태조산(太祖山)

태조산(太祖山)은 혈지(穴地)를 만들기 위하여 최고봉으로 솟은 산으로 모든 산천(山川)의 정기(精氣)가 모여 있는 산으로 산맥의 출발점으로 씩씩하고 단정하며 또한 장엄한 산(山)으로 그 산의 줄기가 사방팔방으로 뻗어나가 중조봉(中祖峯)․소조봉(小祖峯)으로 연결이 되면서 결혈(結穴)이 가능한 것이다. 태조산(太祖山)은 높기 때문에 돌과 바람이 많고 험악하며 깊은 계곡이 많아 혈(穴)이 생기기 어려우며 박환(剝換)이 되어 양명(陽明)한 산(山)이 되어야 혈(穴)이 생길 수 있는 것이다.

 

즉 중국의 청(淸)나라의 ‘장국종성(蔣國宗城)’에 의하면, “태조산 내룡초기발맥지산 유인지유시조야(太祖山 乃龍初起發脈之山 猶人之有始祖也)” 즉 태조산(太祖山)이란 곧 용(龍)이 처음 시작되는 산이다. 사람으로 말하자면 시조(始祖)와 같은 산(山)이다. 태조산(太祖山)은 모든 산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뿌리와 같은 산을 말한다.

 

(3)중조산(中祖山)

중조산(中祖山)은 태조산으로 부터 산의 맥(脈)이 내려와서 중간봉(中間峰)으로 우뚝 쏟은 산(山)의 봉우리로 태조산(太祖山)으로 부터 내려오던 기운이 새롭게 뭉쳐져서 이루어진 봉우리로 태조산에 비하여 박환(剝換)이 잘되고 높이도 낮고 수려하여 결혈(結穴)이 태조산 보다 많이 될 수 있는 산이긴 하나 혈(穴)의 맺음은 높은 산보다는 낮은 산에서 결혈(結穴)이 많이 되고 있다.

 

(4)소조산(小祖山)

소조산(小祖山)은 중조산(中祖山)으로부터 산맥(山脈)이 내려오다가 솟은 봉우리로 부모산(父母山) 또는 현무산(玄武山)이라 하는데 이 소조산(小祖山) 즉 부모산(父母山)은 혈(穴)을 만들려고 모든 준비를 갖춘 산을 말하는데, 혈(穴)이 맺어지는 것은 소조산(小祖山) 하나만 있어도 되는 수도 있고 또는 소조산(小祖山)과 중조산(中祖山)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혈(穴)이 되는 경우도 있고 그리고 태조산(太祖山)에서 중조산(中祖山)을 거쳐 소조산(小祖山)으로 산(山)의 기(氣)가 용맥(龍脈)을타고 내려와 서로 연결이 되어 혈(穴)이 맺어지는 경우를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혈(穴)인 것이다. 소조산(小祖山)의 특징은 산(山)이 낮고 박환(剝換)이 잘되어 있는 비산비야(非山非野)이기 때문에 결혈(結穴)이 제일 많이 되어 산이다.

 

 

4.용의 형태와 용의 종류

 

(1)개장(開帳)과 천심(穿心)

개장(開帳)은 원룡(元龍)이 용세(龍勢)를 펼치고 나아갈 때 산의 형태가 마치 봉황이 양쪽 날개를 펼치듯이 나는 모양으로 생긴 모습을 이르기도 하고 또 다른 표현으로는 개장(開帳)은 ‘장막을 병풍처럼 넓게 펼친다’는 뜻으로 산(山)이 거대한 장막을 주산(主山)을 중심으로 넓게 펼쳐놓은 것과 같은 형상을 나타낸다고 한다. 이는 아무리 생기(生氣)있는 용(龍)이라 하더라고 감싸 보호함이 없으면 정기(精氣)가 흩어져 무력(無力)하게 되기 때문이다.

 

(2)천심(穿心)

천심(穿心)은 ‘용이 중심을 뚫고 나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주산(主山)의 기운이 혈(穴)에 전달되기까지 맥을 통하는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 즉 주산(主山)의 기운이 혈까지 전달되기 위해서는 원룡(元龍)에서 첨심(穿心)이 앞으로 뚫고 나가야 용맥(龍脈)이 이어지는 것이다. 이 천심(穿心)이 없으면 용맥(龍脈)이 단절되어 과협(過峽)과 일기일복(一起一伏)이 되지 않아 행룡(行龍)을 못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천심(穿心)이 되기 위해서는 주봉(主峰)의 기운이 강해야 하며 동시에 생룡(生龍)이어야 한다. 이는 용(龍)이 중심(中心)을 뚫지 못하면 정기(精氣)가 좌우로 흩어져 혈(穴)의 힘이 중심(中心)까지 전달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관산(觀山)을 함에 있어 이 또한 세밀하게 살펴야 할 것이다.

 

(3)박환(剝換)

박환(剝換)이란 자연의 풍화작용(風化作用)에 의해서 산(山)이 다듬어져서 낮아지고 수려(秀麗)해지는 변화를 말하는데 이는 추악(醜惡)한 용(龍)이 아름다운 용(龍)으로, 굵고 거친 것이 가늘고 부드러운 용(龍)으로, 흉(凶)한 용(龍)이 길(吉)한 용(龍)으로 바뀌면서 사룡(死龍)에서 생룡(生龍)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대체로 태조산(太祖山)은 박환(剝換)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중조산(中祖山)을 거쳐 소조산(小祖山)으로 오면서 박환(剝換)이 되면서 좋은 혈(穴)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4)과협(過峽)

과협(過峽)이란 뻗어 나가던 용이 불쑥 기봉(起峰)했다가 다시 낮아지고 또 기봉(起峰)하는 등 일기일복(一起一伏)하는 것으로 중간에 낮은 재(고개)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과협(過峽)이 좋을 때 좋은 혈(穴)이 맺어 지고 과협(過峽)이 나쁘면 혈(穴)도 나쁘게 나타난다. 또는 과협(過峽)이란 용(龍)으로 관통하는 기운이 혈(穴)을 이루기 위해서 통과하는 목과 같이 가늘고 강한 용(龍)을 말하는 것으로 용(龍)은 산봉우리를 뒤로 하고 낮은 지역을 향해 내려가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과협(過峽)의 마디에서 받쳐주는 힘의 진동에 의해 앞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5)생룡(生龍)과 사룡(死龍): 12생사룡(生死龍)

용(龍)의 생사(生死)는 어떻게 구별할 수 있는가(?), 이는 풍수(風水)에서 동(動)․곡(曲)은 생(生)으로 그리고 정(靜)․직(直)은 사(死)로 본다. 그리하여 동․곡(動․曲)의 용(龍)을 생룡(生龍)으로 정․직(靜․直)의 용(龍)을 사룡(死龍)으로 본다. 그러므로 생기(生氣)가 흐르는 생룡(生龍)을 구하고 생기(生氣)가 흐르지 않는 사룡(死龍)을 피하여 그 터를 정하는 것이 풍수(風水)의 원칙(原則)인 것이다.

생기(生氣)가 흐르고 있어서 혈(穴)을 이루는 생룡(生龍)에 6가지의 용(龍)을 생기(生氣)가 흐르지 않고 혈(穴)을 이루 못하는 사룡(死龍)에 6가지를 나누어서 각각 구별하여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먼저 생룡(生龍)을 보면,

①왕룡(旺龍)은 용맥의 기가 강하고 변화에 후덕하면서 왕한 변화의 기상을 주면서 위엄이 있고 양명한 용(龍)을 이르고,

②반룡(盤龍)은 금구렁이가 서려있다는 뜻의 생룡으로 정기가 둥글게 뭉치는 용을 이르고,

③은룡(隱龍)은 혈백이 숨어서 들어와 입수 변화가 불분명하여 생사룡의 구별이 쉽지 않으나 혈상을 잘 살펴야 하는데 대개 금계 포란형(金鷄 抱卵形)의 용이 많이 있는 용을 말하고,

④독룡(獨龍)은 사룡(死龍)이 많아 산(山)을 잘 살펴야 하는데 내룡(來龍)이 길게 뻗어 가다가 변화하지 못하고 정기의 힘이 끝에 와서 뭉치면서 혈(穴)이 생기는데 대개 사두형 혈상(蛇頭形 穴象)이 생기고,

⑤비룡(飛龍)은 비룡상천(飛龍上天)의 혈상이라 하는데 과협이 심하게 변화하고 용이 끝나는 부분에 크게 기복(起伏)하는 혈을 이루고 있으며,

⑥회룡(回龍)은 회룡고조형(回龍顧祖形)의 명혈이 생기는 혈로서 용세(龍勢)가 휘감아 돌아서 혈상(穴象)이 다시 주산(主山)을 돌아다보면서 생긴 혈을 말한다.

 

사룡(死龍)에는,

①쇠룡(衰龍)은 용세의 변화가 없고 흙이 무르고 습하고 색상이 검고 음습한 무력한 산에 생기는 용을 말하고,

②천룡(賤龍)은 용세가 퍼지고 정기가 부족하여 울퉁불퉁하여 굴곡이 심하고 지세가 무력한 곳에 생기는 용을 말하고,

③편룡(片龍)은 능선의 한쪽이 급경사일 때 토질이 무력하고 산맥도 비정상인 곳에서 생긴 용을 말하며,

④광룡(狂龍)은 기복이 높고 강도가 심한 역리된 산에서 생긴 용이며,

⑤직룡(直龍)은 입수로부터 십여미터 이상의 용이 변화가 없이 쭉 뻗어 나간 용(龍)을 이르며,

⑥기룡(騎龍)은 말이 달리듯이 나간 용을 말한다.

 

(6)용(龍)의 앞과 뒤(背面)

용(龍)의 앞(前)과 뒤(後)는 어느 산이나 있다. 산(山)의 앞면에 대부분의 명당(明堂)이 형성되고 있으며 산(山)의 뒤면에는 혈(穴)이 맺어지는 경우가 매우 적은 편이다. 이는 결혈(結穴)이 되기 위해서는 산의 앞이 벌어져서 주위의 산(山)이 고리 모양처럼 또는 양팔을 벌려 감싸주는 모양을 하여야 하는데 이런 모양이 산의 뒷면에서 나오기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주산(主山)이 높게 태조산(太祖山)․중조산(中祖山)․소조산(小祖山)을 거쳐 입수(入首)와 혈판(穴板)을 만들어 혈(穴)이 되면 물은 자연스럽게 환포(環抱:Encircling water)되기 때문이다. 이때에 바람은 장풍(藏風)이 되는데 이는 바람을 막아 주는 것이 아니라 산(山)의 지형이나 물의 흐름이 바람을 감추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5.오형산(五形山)

 

오행산(五行山)은 원룡(元龍)에서 출발한 산(山)의 용(龍)이 기복(起伏)과 굴곡(屈曲)을 거듭하면서 행룡(行龍)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천태만상(千態萬象)의 모습으로 변화를 거듭하여 같은 모양이 가진 산은 하나도 없다. 이때에 산의 윤곽을 보아 혈(穴)이 있을 만한 곳은 반드시 주산(主山)이나 래용(來龍)이나 보국(保局)이나 어디엔가 기이(奇異)하게 생긴 곳이 있으니 이를 증거로 삼고서 관산을 하여 혈(穴)을 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산(山)의 기운(氣運)을 구분함에 있어 산에도 음양(陰陽)이 있고 이 음양에 따라 오행(五行)이 있으며 이 오행산형(五行山形)에 따라 혈(穴)이 맺어지는 지점(地點)도 다른 것이다.

이때에 산의 구분을 음양오행(陰陽五行)에 따라 수형산(水形山)․화형산(火形山)․목형산(木形山)․금형산(金形山)․토형산(土形山)으로 구분한 것이다.

 

오형산(五形山)중에서 단 하나의 형태로 된 산은 쉽게 구분이 가능하나 산의 모양에 따라 두가지 또는 세가지 형의 산이 혼합된 산도 많이 있기에 그 구별은 쉬운 것은 아니다.

 

 

 

 

 

<그림 3-2: 오행 산형도(五行 山形圖)>

 

 

(1)수형산(水形山)

수형산(水形山)은 산의 기복(起伏)이 부드러운 물결과 같이 부드럽게 끊어지지 않고 구불구불하게 생긴 산의 형태로 산 정상부의 봉우리가 여러 개가 연결된 산을 이르며 결혈(結穴) 지점은 산의 끝 지점에서 산(山)의 기운(氣運)이 뭉쳐져서 혈(穴)이 된다.

 

(2)화형산(火形山)

산(山)이 높고 정상부가 뾰족한 두개 이상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화형산(火形山)은 대부분 암석(岩石)으로 된 돌산이 많으며 결혈(結穴)이 되는 곳은 상층(上層) 평탄처(平坦處) 즉 높은 산 위의 평탄한 곳이 주로 혈(穴)이 되는 곳이다.

 

(3)목형산(木形山)

맑고 정결한 산으로 높고 곧게 솟은 산(山)이나 또는 갑자기 솟은 산을 목형산(木形山)이라 하는데, 목형산(木形山)에서는 산맥(山脈)이 구부러지는 마디의 절처(節處)나 갑자기 솟아오르려는 마디에서 혈(穴)이 맺어진다.

 

(4)금형산(金形山): 투구봉(投球峰), 노적봉(露積峰)

금형산(金形山)은 산 전체가 둥근 모습으로 종(鐘)이나 바가지를 엎어 놓은 모습으로 가을의 추수를 끝내고 곡식을 쌓아 놓은 모습 같다고 하여 노적봉(露積峰)이라고도 한다. 금형산(金形山)에서 주로 중간(中間) 부분(部分)에서 결혈(結穴)이 많이 되고 있으며, 금형산(金形山)은 달(月)처럼 둥근 모양이며, 목형산(木形山)은 사람이 서 있는 것과 같이 위로 솟은 모습이다.

 

(5)토형산(土形山): 일자문성(一字文星)

토형산(土形山)은 일자문성(一字文星)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산(山)의 정상부분이 평탄(平坦)하게 되면서 퍼지지 않은 일자(一)형의 좁은 형태의 산(山)을 말한다. 결혈(結穴) 지점은 하층(下層) 평지돌처(平地突處)에 혈처(穴處)가 된다고 하였는데 즉 평평한 곳에서는 불쑥 솟아오른 곳에서 혈(穴)을 맺으면 명혈(名穴)이 된다는 것으로 불쑥 쏟아야 혈(穴)이 된다는 것이다.

 

 

<표 3-1: 오행산(五行山)의 특징>

區 分

特 徵

結 穴 地

水形山

본유(本柔)하니 굴곡유동(屈曲流動)하고,

하층 산진처(下層 山盡處)

본시 부드러우니 구불구불 움직여 흐른다.

火形山

본조(本燥)하니 첨염초예(尖焰峭銳)하고,

상층 평탄처(上層 平坦處)

본시 조하니 불꽃같이 뽀족하고 가파르고 날카롭다.

木形山

본직(本直)하니 고용조달(高聳條達)하고,

중층 산절처(中層 山節處)

본시 곧으니 높이 솟고 가지가 많이 퍼져있다.

金形山

본청(本淸)하니 단원주정(團圓周淨)하고,

중층 봉요처(中層 峯凹處)

본시 맑은 것이니 둥글고 둥글며 정결해야 한다.

土形山

본탁(本濁)하니 방평후중(方平厚重)이라.

하층 평지돌처(下層 平地突處)

본시 탁하니 평평하고 모나고 후중한 것이다.

 

 

 

제3절 혈(穴)-정혈법(定穴法)

 

정혈법(定穴法)의 중요성은 중국 당(唐)나라의 ‘양균송’이 ‘수정(水晶)’이 빛을 모으고 ‘거울’이 물(水)을 응집(凝集)하는 것으로 비유하여 혈(穴)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는데, 이는 ‘볼록렌즈’는 쉽게 태양광선을 모아 열을 얻을 수 있고 ‘오목거울’은 달빛을 모아 물방울을 모을 수 있는데서 즉 취화적수(聚火滴水)로 설명하였다. 불(火)을 일으키고 물방울(水)을 맺으려면 렌즈나 거울을 해(日)와 달(月)의 발광체(發光體)에 대해 직각으로 중정(中正)을 유지해야 한다. 여기에서 불(火)이 되고 물(水)이 되는 것은 렌즈나 거울의 원근의 어디에서나 되는 것이 아니고 렌즈나 거울의 대소(大小)인 즉 두껍고 얅은 즉 후박(厚薄)에 여하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음양(陰陽)의 기(氣)가 응집(凝集)하는 원리도 이와 마찬가지여서 혈(穴)의 대소(大小)를 막론하고 기(氣)를 집중(集中)하는 곳은 한 점밖에 없다. 이것이 정혈법(定穴法)의 점혈(點穴)이 존재하는 이유인 것이다.

 

 

 

 

 

 

 

 

 

<그림 3-3: 취화적수의 이치(聚火滴水의 理致)>

 

 

혈(穴)의 모양(貌樣)은 입수(入首)․혈판(穴板)․선익(蟬翼)․전순(前脣)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여기에서 혈상(穴象)을 크게 나누면 와혈과 겸혈의 음혈(陰穴)과 유혈과 돌혈의 양혈(陽穴)로, 작게 나누면 와겸유돌(窩鉗乳突)의 네 가지로 분류(分類)할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구별의 편리성을 위하여 혈상오악(穴象五嶽)인 입수(入首)․혈판(穴板)․좌선익(左蟬翼)․우선익(右蟬翼)․전순(前脣) 등에 대해서 먼저 보고 그 다음으로 혈의 사상(穴의 四象)인 와혈(窩穴)․겸혈(鉗穴)․유혈(乳穴)․돌혈(突穴) 등에 대하여 본 후에 마지막으로 혈상의 육가원칙(穴象 六可原則)인 태․정․순․강․고․저(胎․正․順․强․高․低)에 대해서 보고자 한다. 혈상오악, 혈의 사상, 혈상의 육가원칙 등은 모두가 풍수지리의 최종적인 목표가 좋은 혈(穴)을 찾는 데에 있으므로 먼저 혈(穴)을 찾음에 있어 심혈(尋穴)에 대해서 보고난 후에 각각에 대해서 보고자 한다.

 

1.심혈법(尋穴法)

 

심혈(尋穴)이란 명당(明堂) 즉 혈지(穴地)를 찾는 것으로 광활한 대지(大地)위에 하나의 혈(일석혈지:一席穴地)을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에, 먼저 혈(穴)의 모양을 알아야 하고 혈(穴)의 대․중․소(大․中․小)와 관계없이 혈(穴)이 생기는 것은 같은 이치(理致)에 따라 혈이 맺어지기에 혈지(穴地)를 찾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결혈(結穴)이 된 곳에는 반드시 증좌(證佐)가 있기 때문에 다음의 방법으로 혈지(穴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⑴‘혈지(穴地)의 뒤’에서 찾을 때에는 후면(後面)에 아름다운 산이 있거나 전면(前面)에 기이(奇異)한 응사(應砂)가 있거나 청룡(靑龍)이나 백호(白虎)의 포옹(抱擁)이 있어야 하고,

⑵‘혈지(穴地)의 앞’에서 찾을 때에는 아름다운 안산(案山)이 있거나 수세(水勢)가 모이는 곳이 있어야 하고, ⑶‘혈지(穴地)의 밑’에서 찾을 때에는 산이 바르고 전순(前脣)이 뭉쳐져 있는 곳이라야 하고,

⑷‘혈지(穴地)의 좌(左)나 우(右)’에서 찾을 때에는 뱀이 개구리 잡아먹은 형(形)과 같이 혈지(穴地)의 산(山)의 양(兩)쪽이 불러야 하니 이런 곳이 혈(穴)의 모양을 갖춘 곳이다.

 

그리고 심혈(尋穴)을 함에 있어 다음의 방법으로 함이 혈(穴)을 찾는 방법인 것이다.

첫째 ‘주산(主山)의 위엄(威嚴)’을 보고 혈지(穴地)를 찾아본다. 이는 주위에 높고 아름다운 산이 있으면 그 산의 주력(主力)이 어느 쪽으로 향응(向應)하고 있냐를 보고 그 밑에 가서 살펴보아서 산의 둥글면 결혈(結穴)이 가까운 곳에서 되는 것이고 주산의 생김의 길이가 길면 혈지(穴地)가 먼 곳에서 맺히는 것이 혈의 이치인 것이다.

둘째 ‘래룡(來龍)의 기세(氣勢)’를 보고 혈지를 찾아보는 것인데 이는 래룡(來龍)은 주룡(主龍)이든 지룡(枝龍)이든 보룡(保龍)이 되어야 좋은 용이 되는데 생룡(生龍)으로서 혈(穴)을 보호함에 있어 청룡이나 백호가 혈을 보호 하여야 혈이 되고 또 용이 생룡(生龍)으로서 굴곡(屈曲)이 잦으면 혈지(穴地)는 가까이 맺힐 수 있고 굴곡(屈曲)이 적으면 멀리에 용(龍)이 가서 혈지(穴地)를 맺힐 수 이치인 것이다.

셋째 ‘산(山)의 사격(砂格)’을 보고 혈지(穴地)를 찾는 것으로 길사(吉砂)가 있는 곳을 잘 살펴보아 혈지를 찾으면 될 것이다.

넷째 ‘주위(周圍) 산(山)의 응기(應氣)’로 혈지를 찾는 것으로 이는 결혈(結穴)이 되는 곳은 모든 산(山)과 물(水)이 혈(穴)을 향하여 둥그렇게 모이고 좌우길산(左右吉山)이 나열되어 공허(空虛)한 곳을 보호(保護)하여 주고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풍동수류(風動水流)’를 관찰하여 산(山)의 모든 정기(精氣)가 한곳에 집중된 혈(穴)을 찾는 것이 심혈(尋穴)인 것이다.

 

 

2.혈상오악(穴象五嶽)

 

혈상오악(穴象五嶽)은 입수(入首)․혈판(穴板)․좌선익(左蟬翼)․우선익(右蟬翼) ․전순(前脣)등을 말하나 좌선익과 우선익을 하나의 선익(蟬翼)으로 표현하여 즉 입수(入首)․선익(蟬翼)․혈판(穴板)․전순(氈脣) 등의 네 부분이 함께 이루어지면 혈(穴)이 되기에 이를 혈의 사상(穴의 四象)이라고도 한다. 

 

 

 

 

 

<그림 3-4: 혈판의 구조(穴板의 構造)>

 

 

(1)입수(入首): 입수오격(入首五格), 입수의 3가지 형태(形態)

 

입수(入首)란 명당(明堂)이 생기기 위하여 모든 준비를 갖추고 있는 지점이라 하는데 다른 표현으로는 입수(入首)란 혈(穴)을 만들려고 산천정기(山川精氣)의 총기운(總氣運)이 결응(結凝)되어 있는 취기(聚氣) 지점(地點)인 것이다. 풍수지리에서 천리래룡(千里來龍)도 입수(入首) 한 절(節)에 달려있다고 하는 것은 래룡(來龍)의 변화기운을 받아서 혈지(穴地)를 만들려고 힘을 감추고 있기 때문에 입수취기(入首聚氣)의 힘에 따라 혈(穴)의 대소(大小)와 왕쇠(旺衰)가 좌우됨으로 제일 중요한 지점인 것이다.

혈의 오악(穴의 五嶽)중에서 하나만 없어도 비혈(非穴)이 되고 혈판(穴板)까지 들어오는 래용(來龍)의 변화에 따라 혈상(穴象)의 형태(形態)와 길흉화복(吉凶禍福)도 달라지는 것이다.

 

입수(入首)는 단 한 절만을 가지고도 혈(穴)이 될 수 있는 것이며 그리고 내룡(來龍)이 입수(入首)하는 방법(方法)에 따라 직룡입수․횡룡입수․회룡입수․비룡입수․잠룡입수 등의 입수오격(入首五格)으로 나눌 수 있으며, 입수의 형태(形態)에 따라서는 취기입수․속기입수․귀암입수 등의 3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입수오격(入首五格)에 대해서 보고자 한다.

 

 

1)입수 오격(入首五格): 내룡이 입수하는 방법에 따라 구분

①직룡입수(直龍入首): 용맥(龍脈)이 곧게 내려오는 즉 굴곡(屈曲)이나 기복(起伏)의 변화 없이 내려와 입수(入首)로 이어지면서 그 아래에 혈(穴)을 맺는 입수(入首)를 말하는데 여기에서는 변화가 없이 길게 들어오면 사룡이 되어 비혈(非穴)이 되고 직룡(直龍)이라도 보룡이 되어 생룡(生龍)이 되면 혈(穴)이 맺어져 후손에게 발복이 빠르게 오는 입수를 말한다.

②횡룡입수(橫龍入首): 옆에서 들어오는 입수에 의해 혈이 되는 입수를 말하는데 ‘내룡(來龍)’의 형태는 굴곡(屈曲)의 변화로 결혈(結穴)이 되지만 ‘횡룡(橫龍)’은 기복(起伏)의 변화로 되는 것이 특징이다.

③회룡입수(回龍入首): 횡룡입수는 조산(祖山)을 출발한 용이 행룡(行龍)하면서 용을 돌려 조산을 돌아보면서 혈이 맺어지는 입수(入首)를 말하는 데 이를 또한 회룡고조(回龍雇祖)라고 도 한다.

④비룡입수(飛龍入首): 내룡이 입수 뒤로 와서 위로 급하게 기봉(起峰)된 혈을 말하는데 이를 혈판 뒤에서 보면 괘등혈(掛燈穴)처럼 높게 보이는 혈을 말한다. ⑤잠룡입수(潛龍入首): 래용(來龍)이 입수(入首) 부위로 내려오면서 펼쳐지고 흩어져 미미하여 입수(入首)의 용맥(龍脈)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입수의 표시가 매우 약한 입수를 잠룡입수라 한다.

 

2)입수 형태(入首 形態): 입수의 형태에 따른 3가지

①취기입수(聚氣入首): 혈판 뒤의 래룡(來龍)에서 입수하는 용맥이 꿩(稚:꿩치)이 엎드려 있는 등(背:등배)의 모습과 같은 것으로서 여기서는 정기(精氣)의 힘이 풍부하여 정돌취기(正突聚氣)하게 된다고 하여 정돌취기입수(正突聚氣入首)라고도 하며 취기입수에서는 장손의 집이 차손이나 끝손보다 더 부귀세도하는 입수절이다.

②속기입수(束氣入首): 입수하여 들어오는 모양이 학슬(鶴膝: 학의 무릎)이나 봉요(蜂腰:벌 허리)같이 가늘고 잘록한 모습이 마치 사람의 목을 조인 형태로 들어오는 입수(入首)로 여기에서는 장자(長子)는 손(孫)을 귀하게 두어 독자를 두게 되며 둘째나 막내가 장손보다 더 많은 발복(發福)을 받는 입수절(入首節)을 이른다.

③귀암입수(貴岩入首): 입수(入首)부분에 박혀있는 암석(岩石)이 비치면서 정돌취기하는 형상도 있고 취기(聚氣)없이 암석만 돌출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에 험(險)한 암석(岩石)이 있는 때에는 흉석(凶石)이 되어 혈(穴)이 될 수 없으며 서기(瑞氣) 어린 길암(吉岩)이 있을 때에는 혈(穴)을 맺어주는데 여기에서 발복(發福)은 장자(長子)집에서 가장 많이 있는 입수절(入首節)인 것이다.

 

(2)혈판(穴板): 당판(堂板), 혈장(穴場), 혈상(穴相), 혈(穴)

혈판(穴板)은 기(氣)가 응기(應氣)된 덩어리로서 당판(堂板)이고도 하는데 혈판상부에는 주룡(主龍)이 연결되어 있고 입수(入首) 아래로 혈이 있고 혈(穴)의 좌우(左右) 상부(上部)에는 선익(蟬翼)이 있고 또한 혈판(穴板)의 아래로는 전순(氈脣)이 있어야 혈판이 되는 것이다.

혈은 입수․선익․전순의 총합 결응처(總合 結凝處)이며 또한 혈에서 좌(坐)를 설정함에 있어서는 사자(死者)에 대한 생기(生氣)로서 좌(坐)가 정하여지는 것이 아니라 혈(穴)의 좌선(左旋)과 우선(右旋)에 따라서 좌(坐)가 정(丁)하여 지는 것이다.

 

혈판(穴板)의 모양은 계란을 세워 뒤로 눕힌 것과 같이 좌우(左右)보다 상하(上下)가 더 긴 형태(形態)가 되어야 하며 또한 혈판(穴板)이 크고 넓은 것 보다는 양명(陽明)한 땅에서 밤톨같이 돌출된 곳에 맺힌 혈(穴)이 더 길(吉)한 결혈(結穴)이 된 것이다.

 

(3)선익(蟬翼): 좌선익(左蟬翼), 우선익(右蟬翼)

선익(蟬翼)이란 매미선(蟬)자와 날개익(翼)자를 써서 즉 매미의 날개란 뜻으로 혈상(穴象)의 양옆을 감싸 주어서 바람(風)을 막는 역할을 하여 혈판(穴板)에 모인 지기(地氣)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혈(穴)을 보호해 주는 역할(役割)을 하는 것을 말한다.

선익(蟬翼)의 형태는 우각(牛角-소뿔)과 같이 안으로 굽으면서 위가 두껍고 아래는 점점 가늘어진 것이며 이의 작용(作用)은 기(氣)가 빠져나가지 않게 즉 설기(泄氣)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作用)을 하는 것이다.

 

 

 

 

<그림 3-5: 선익의 정면과 측면도(蟬翼의 正面과 側面圖)>

 

*선익(蟬翼)의 정면도(正面圖)

*선익(蟬翼)의 측면도(側面圖)

 

 

(4)전순(氈脣)

 

전순(氈脣)은 혈판(穴板)에서 결응(結應)이 되고 남은 기운이 꼬리처럼 생긴 것을 말하는데 결혈(結穴)이 클 때 생기는 것을 전(氈:모전전․모직물전)이라 하는데 이는 새의 부리보다 모양이 더 큰 모양으로 방석과 같은 모양으로 생기며 작은 결혈(結穴)이 생길 때에 볼 수 있는 순(脣:입술순)은 새의 부리와 같다고 하며 이를 합쳐 전순(氈脣)이라 한다.

 

전순(氈脣)은 주로 혈(穴)의 사상인 와․겸․유․돌(窩․鉗․乳․突)의 혈상 중에서 유혈(乳穴)과 돌형(突穴)에서 대부분 분명하게 생기며 와혈(窩穴)과 겸혈(鉗穴)에서는 전순(氈脣)이 아주 작아 주로 축대 같은 것을 쌓아 전순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전순이 좋으면 끝 자손(말자:末子)의 재물의 발복(發福)이 크며 그리고 전순에 돌(石)이 있으면 주로 말자(末子)가 세도를 많이 한다. 이와 반대로 전순이 없으면 비혈(非穴)이 되거나 자손(子孫)을 둘 수가 없다고 하였다.

 

 

3.혈의 사상(穴의 四象): 와혈(窩穴), 겸혈(鉗穴), 유혈(乳穴), 돌혈(突穴)

 

 

 

 

 

 

 

 

 

 

 

 

 

 

 

 

 

 

 

 

 

 

 

 

 

 

 

 

 

 

 

 

<그림 3-6: 사상 혈상도(四象 穴象圖)>

 

 

혈의 사상(穴의 四象)인 와혈(窩穴)․겸혈(鉗穴)․유혈(乳穴)․돌혈(突穴)은 음양설(陰陽說)의 양의(兩儀)와 사상(四象)에서 취한 이론으로 제일 처음시작인 태극(太極)은 승생기(乘生氣)의 생기(生氣), 양의(兩儀)는 양래음수․음래양수의 음양(陰陽)이며 이를 형태로 나타내면 요철(凹凸)이고, 사상(四象)은 태양․소양․태음․소음이며 이를 형태로 보면 와겸유돌(窩鉗乳突)이기 때문에 풍수지리 이론의 생기(生氣)에 근거하여 음양(陰陽)으로 발(發)하며 형태(形態)로 구현되는 혈형(穴形)은 와겸유돌형(窩鉗乳突形)으로 보는 것이다.

 

음양(陰陽)의 원기(陰陽의 元氣)를 모으는 것은 요철(凹凸)형에 의해서 생기는 것으로 ‘오목거울’이 월정(月精-음기:陰氣)을 ‘볼록렌즈’가 일정(日精-양기:陽氣)을 모으는 것으로 보아 이를 산(山)의 형태로 나타내면 양(陽)은 요(凹)형으로 음(陰)은 철(凸)형으로 하여 ‘요형(凹形)’은 양(陽)이고

‘철형(凸形)은 음(陰)인 까닭에 그 혈장(穴場)의 철요(凸凹)를 음양(陰陽)으로 간주하고,

그리고 음양(陰陽)에는 사상(四象)이 있으므로 이 사상에 적합하도록 ‘요(凹)장’을 철(凸)형에 속하는 와(窩)․겸(鉗)을 ‘철(凸)장’을 요(凹)형에 속하는 유(乳)․겸(鉗)의 4가지로 나누어서 음양설(陰陽說)에 일치시킨 것이며, 이는 또한 양중유음(陽中有陰)․음중유양(陰中有陽)이라는 음양원리에 따라 요철(凹凸)은 음양(陰陽)의 혈형(穴形)을 이르고 와겸유돌(窩鉗乳突)은 음양(陰陽)의 사상체를 이른 것으로 즉 와혈(窩穴)․겸혈(鉗穴)은 오목한 요(凹)형으로 음혈(陰穴)이라 하였고 유혈(乳穴)․돌혈(突穴)은 불룩한 철(凸)형으로 양혈(陽穴)이라 한 것이다.

 

혈(穴)에 있어서의 생기의 순화와 그 소응(所應)을 볼록렌즈와 오목거울이 쉽게 물불(水火)을 취하는 것은 음래양수(陰來陽受)를 철래요수(凸來凹受)로 간주하여 철(凸)은 양기(陽氣)를 모으며 요(凹)는 쉽게 음기(陰氣)를 모으기 때문에 철(凸)이 오고 요(凹)가 받는 일은 집중된 양기(陽氣)와 음기(陰氣)가 서로 충화(沖和)하고 웅결(凝結)하며 순화한다고 보는 것이다.

 

 

(1)와혈(窩穴): 음혈(陰穴)

와혈(窩穴)은 음혈로서 주룡(主龍)에서 내려온 기운이 혈판에서 좌우로 맥을 벌려 소쿠리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와혈(窩穴)이 혈이 되는 곳은 ‘높은 산’에서는 대부분 바람을 피하기 위해서 오목한 요처(凹處)에서 결혈(結穴)이 많이 되고 ‘낮은 곳’에서는 횡룡(橫龍)에서 결혈(結穴)이 많이 되고 있는데, 이는 와혈(窩穴)에서는 와(窩)가 바른 사격(砂格)이 되어야 장풍(藏風)이 되어 기(氣)가 모아지고 혈판(穴板)의 생기(生氣)가 위로 증발되지 못하는 것이다.

 

와혈(窩穴)에서는 용호(龍虎)중에 하나 또는 선익(蟬翼)이 혈판(穴板)을 감싸주는 형태가 되어야 하는데 이는 와혈(窩穴)에서는 입수(入首)와 선익(蟬翼)이 없으면 비혈(非穴)이 되기 때문이다. 이런 국(局)에서 바람을 감싸주는 형국(形局)이 되어야 혈(穴)이 형성되는 것이다.

 

(2)겸혈(鉗穴): 음혈(陰穴)

겸혈(鉗穴)은 주룡(主龍)에서 내려온 기운이 혈판(穴板)을 이루는 동시에 혈판 양쪽 끝을 받쳐주는 맥(脈)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모양이 양다리를 벌린 모양(개각:開脚) 또는 엄지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위에 대추를 얹어 놓은 모양의 혈로서 이때에 양쪽의 다리 모양을 양각(兩脚)이라 하는데 이때에 양각 중에 하나는 길고 하나는 짧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양각이 똑같으면 상박(相搏)이 되어 충(沖)이 되어 혈(穴)이 될 수가 없다.

 

개각(開脚)의 모양은 소뿔 즉 우각(牛角)처럼 위는 후덕하고 아래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지면서 양쪽의 산의 끝자락인 용호(龍虎)가 안쪽으로 감싸주는 형태가 되어야 결혈(結穴)이 되는 것이다.

 

(3)유혈(乳穴): 양혈(陽穴)

선익(蟬翼)이 없으면 혈(穴)이 되지 않는 유혈(乳穴)은 높은 산이나 평지에서 다 결혈이 될 수 있지만 대개는 용맥(龍脈)이 끝나는 지점에서 결혈이 많이 되고 있고 그 혈의 모양은 풍만하고 윤곽이 분명한 혈(穴)이다. 입수(入首)가 분명하면 선익(蟬翼)을 판별하기가 쉬우나 입수가 분명하지 않으면 선익을 보기가 매우 어려운 점이 유혈의 특징이다.

 

*와혈(窩穴, 窩:움집와, 감출와, 穴:구덩이 혈): 닭집, 삼태기, 손바닥, 소라껍질, 쇠대야, 징 같은 것을 위로 향 해 요(凹)형으로 입을 벌린 듯한 형국을 말한다.

* 와곡(窩曲): 이는 선익(蟬翼)이나 용호(龍虎)중 하나가 혈판(穴板)을 활과 같이 감싸주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겸혈(鉗穴, 鉗:칼겸, 입다물 겸, 穴:구덩이 혈): 엄지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을 오므리고 형상, 대추가 떨어져 있는 형상, 쇠 젓가락을 잡은 것 같이 양 다리를 벌리고 있는 형상으로 이때 양다리는 소뿔과 같은 형상, 골짜기가 합한 듯한 모양등으로 이루어진 혈상이다.

*겸직(鉗直): 겸혈은 양각(兩脚)이 곧게 나가되 하나는 길고 하나는 쨟아야 하며, 개구(開口)는 밖으로 벌어 지면 안된다.

*유혈(乳穴, 乳:젖유, 젖퉁이 유, 穴:구덩이 혈): 양팔을 벌린 중간에 유방을 늘어뜨린 듯한 형태, 여자가 잉태 한 모습, 뱀이 개구리를 잡아 먹은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혈을 말한다.

*유수(乳垂): 유혈은 혈판이 후덕하게 생긴 여자의 유방과 같이 아래로 늘어져야 혈이 되는 혈이다.

 

 

(4)돌혈(突穴): 양혈(陽穴)

돌혈(突穴)은 양혈(陽穴)로서 산의 정상에서 물거품(水泡)처럼 돌출된 혈로서 산의 정상(頂上)이나 평지(平地)의 돌처(突處)에서 많은 혈을 맺어 주는데 ‘높은 산’에서는 바람을 막아 주는 오목한(凹) 데서 혈이 많이 생기고 ‘야산(野山)’에서는 바람보다는 물(水)을 피하기 위해 계수(界水)가 되는 산 정상에서 결혈(結穴)이 많이 되고 있다. 돌혈(突穴) 뒤로 병풍이나 장막과 같이 주위(周圍)를 둘러 주지 않으면 혈(穴)이 되지 않는다.

 

(5)괴혈(怪穴): 교혈(巧穴), 기혈(寄穴)

정상적인 혈상은 오악인 입수․좌우선익․혈판․전순이 구비되어 있는 혈(穴)을 말하나 괴혈(怪穴)은 혈(穴)의 모습은 갖추고 있으나 이것이 기이(奇異)하게 조합이 된 혈상(穴象)을 말한다. 이는 혈의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으로 혈의 이름을 부르는데, 1)천교혈(天巧穴), 2)기룡혈(騎龍穴), 3)천풍혈(天風穴), 4)수중혈(水中穴), 5)몰니혈(沒泥穴), 6)석중혈(石中穴), 7)연소혈(燕巢穴), 8)괘등혈(掛燈穴) 등등의 명칭으로 혈(穴)을 나누어 볼 수가 있다.

 

*돌혈(突穴, 突:갑자기 돌, 우뚝할 돌, 穴:구덩이 혈): 돌(突)은 혈(穴)과 견(犬)이 합쳐진 글자로서, 개(犬)가 갑자기 구멍(穴) 속에서 뛰쳐나온다는 뜻으로, 이는 가마 솥을 엎어 놓은 형상, 또는 자라의 등과 같은 모양 을 한 혈을 말한다.

*돌용(突聳, 聳:높이 솟을 용): 돌혈은 산 정상 또는 평지에서 돌출된 형상이 되어야 한다.

 

 

4.혈상의 육가원칙(穴象의 六可原則): 태정순강고저(胎正順强高低)

 

결혈을 함에는 6가지 원칙이 있는데 이를 혈상(穴象)의 육가원칙이라 하는데 이에는 태(胎:아이밸태)․정(正:바를정)․순(順:도리를 따를순)․강(强:굳셀강)․고(高:높을고)․저(低:밑저)의 공식에 맞아야 진혈(眞穴)이 될 수 있음을 말한다.

 

(1)태(胎:아이밸태)

이는 혈상의 모양새를 볼 때 마치 뱀이 개구리를 잡아먹고 배가 부른 형상과 같으며 또한 아이를 잉태한 모습처럼 볼록해야 결응이 된다는 것이다.

 

(2)정(正:바를정)

정은 결응된 혈상의 모습이 어느 곳도 비뚤어짐이 없이 바르고 단정한 하여야 하며 주변의 국세도 균형이 잡혀 있어서 바른 혈상을 이룬 혈을 말한다.

 

(3)순(順:도리를 따를순)

순(順)의 대표적인 혈상은 모습은 우각(牛角:소의 뿔)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주변의 사격(砂格)이 행룡(行龍)을 함에 있어 순행(順行) 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넓은 곳부터 좁아져야 하고 큰 것부터 작아져서 혈(穴)이 됨을 이른다.

 

(4)강(强:굳셀강)

결혈(結穴)이 되기 위해서는 토질이 모두 단단하고 양명하여 색상이 밝은 곳에서 혈이 맺어 진다는 것으로 말이 지나가도 말의 발자국이 남지 않을 정도로 강(强)한 혈상(穴象)을 말한다.

 

(5)고(高:높을고)

높은 산이나 야산을 막론하고 혈이 맺어지는 곳은 산의 높은 부분을 이른 것을 뜻하는 것으로 고(高)를 이르는 것인데 이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햇빛이 비출 정도로 혈이 위치한 곳에서 높은 곳을 이른다.

 

(6)저(低:밑저)

저(低)란 혈처(穴處)가 높은 곳에서 이루어져 있어도 주위의 국세(局勢)가 같이 높아져서 마치 병풍을 두른 듯이 보국(保局)이 되어서 혈판(穴板)에 앉아 있으면 안정감(安定感)을 주는 것을 말한다.

혈(穴)이 생기기 위해서는 입수(入首)의 기운(氣運)과 혈심(穴心)의 응결(凝結)과 선익(蟬翼)의 포옹(抱擁)과 전순(氈脣)의 뭉침의 모습이 있어야 혈(穴)이 맺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정혈법(定穴法)의 핵심은 길혈(吉穴)이 맺어지는 결혈(結穴) 지점을 찾는 데에 있으며 이는 음양(陰陽)의 기(氣)는 내뿜으면 바람(風)이 되고 오르면 구름(雲)이 되고 떨어지면 비(雨)가 되며 땅속(地下)을 돌아다니면 생기(生氣)가 되는데, 음양(陰陽)의 모체(母體)가 되는 기(氣)가 산(山)에서 생기(生氣)가 되면 용맥(龍脈:능선․지각)을 타고 다니기 때문에 산맥(山脈)에서는 지세(地勢)에 따라 때로는 깊게 때로는 얕게 통기통맥(通氣通脈)이 되고 있기 때문에 시신(屍身)을 매장할 때 천광(穿壙)을 얕게 파거나 깊이 파는 것은 기맥(氣脈)의 천심(穿心)에 의한 장법(葬法)에 의해서이다. 이는 곧 시신(屍身)이 좋은 기(氣)를 많이 받아 후손에게 좋은 기(氣)가 많이 발산(發散) 되도록 함인데 이런 정혈(正穴)을 찾는 것이 정혈법(定穴法)인 것이다.

 

 

 

제4절 사(砂)-사격론(砂格論)(장풍법:藏風法)

 

풍수(風水)의 근본(根本)은 생기(生氣)를 타는 것인데 생기(生氣)는 바람을 만나면 흩어져 없어져 버리기 때문에 생기(生氣)를 모으기 위해서는 바람이 흩어지지 않게 하여야 하는데 이를 장풍(藏風)이라 한다. ‘장풍(藏風)이란 불어오는 바람을 막는 것이 아니라 불어 나가는 바람을 막아 바람을 저장하여 혈에서 순화를 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물건을 넣고 내어 쓰지 않는 것을 장(藏:감출장․저장할장)이라 하는 것처럼 ‘바람을 막는 방풍(防風)’이라 하지 않고 ‘바람을 감추는 것’이라 하여 '장풍(藏風)'이라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장풍법(藏風法)은 철(凸)의 형체로 다가오는 용(龍)을 요(凹)형 지세로 받고 혈(穴)을 요(凹)의 중앙에 정하는 것을 말하는데, 여기서 혈(穴)을 둘러싼 사방의 산을 사(砂)라 하는데 장풍법(藏風法)의 출발은 바로 사(砂)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결혈(結穴)된 혈판(穴板)의 주위에 있는 모든 산형(山形)인 청룡(靑龍)과 백호(白虎) 그리고 안산(案山)과 조산(朝山)등 혈장(穴場) 주위에 있는 모든 산을 ‘사(砂)’라 한다. 이것은 또한 사(砂)의 격(格)을 보는 것이라 하여 ‘사격(砂格)’이라고도 한다. 사격(砂格)은 명당(明堂)의 전후좌우(前後左右)에 서로 나열되어 있는 모든 산(山)들로서 아름답게 보이는 산은 ‘길사(吉砂)’라 하고 아름답지 않게 보이는 산(山)들은 ‘흉사(凶砂)’라 하는데, 명산(明山)에는 길사(吉砂)가 나서 서로 조응(朝應)이 되고 흉산(凶山)에는 흉사(凶砂)가 서로 상충(相沖)하여 배반(背反)하고 있는 산(山)을 ‘사격(砂格)’이라 한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길사격(吉砂格)이 나열되어 있어도 결혈지(結穴地)가 아니면 아무런 소용이 없는 것이다.

 

산(山)의 사격(砂格)은 넓은 의미로 보국(保局)의 범주에 속하는데 여기에서 보국(保局)이라 함은 주산․청룡․백호․안산․조산을 비롯한 온 산들이 혈(穴)을 보호 하고 있는 전부를 이르며, 보국(保局)의 형은 둥근 원형(圓形)을 이루어 혈(穴)을 보고 응(應)하여야 하며 주산(主山)보다 낮고 양명(陽明)하고 서기(瑞氣)가 있어야 하며 또한 결혈지(結穴地)를 중심으로 하여 산포수회(山抱水回)하고 정풍정수(靜風靜水)를 이루며 안정된 국(局)을 이루고 있어야 하며 보산(保山)도 수려(秀麗)하고 후덕(厚德)하여야 하며 안산(案山)도 주산(主山)을 응(應)하여야 하며 원근고저(遠近高低)와 위엄(威嚴)의 자세(姿勢)는 주산세(主山勢)와 대비(對比)되어 조응(朝應)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먼저 사신사(四神砂)에 대해서 먼저 보고 다음으로 안산(案山)․조산(朝山)․나성(羅城)에 대해서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산의 사격(砂格)의 길흉(吉凶)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길사도(吉砂圖)․흉사도(凶砂圖)에 대해서 보고자 한다.

 

 

1.사신사(四神砂)

 

청백주현(靑白朱玄)의 사신사(四神砂)의 방향이 정하여지는 것은 혈(穴)을 주체로 하여 본 것으로, 현무(玄武)는 본산인 뒷산의 래룡(來龍)이고 청룡(靑龍)은 좌산(左山)이고 백호(白虎)는 우산(右山)이고 주작(朱雀)은 앞산이다.

뒷산인 현무(玄武)는 정지하는 것이 좋고 앞산인 주작(朱雀)은 다가와서 상무(翔舞)하는 것이 좋으며 좌측 산의 청룡(靑龍)은 길게 꿈틀거리고 뻗어서 둘러싸인 것이 좋고 우측 산의 백호(白虎)는 호랑이가 쭈그리고 앉아 서로 맞는 듯한 것이 좋은 것이다. 이와 반대로 되면 일족 파멸의 위험을 면할 수 없는데 즉 ‘우측산(右側山)’의 백호(白虎)가 둘러싼 것은 호랑이가 무덤의 시체를 물려 한 것이고, ‘좌측산(左側山)’의 청룡(靑龍)이 앉아 있는 것은 뒷산인 내룡(來龍)을 질투한다는 의미이고, ‘본산(本山)’인 현무(玄武)가 머리를 숙이지 않고 있는 모습은 시체를 거부하는 것이며, ‘앞산’인 주작(朱雀)이 상무(翔舞)하지 않고 등을 대는 것은 뒷산을 돌아보지 않고 무정하게 날아가 버리는 것을 의미하기에 일족의 파멸을 맞게 되는 작국(作局)88]인 것이다.

사격(砂格)은 장풍(藏風)을 위한 것이고 산에서 사격(砂格)이 없으면 장풍이 되기 어려운 것이기에 진혈(眞穴)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 사격(砂格)은 장풍(藏風)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이에 사격의 하나하나에 대해서 보고자 한다.

 

88] 주산(主山)에서 내려오는 용에서 주된 용(주룡:主龍)은 혈(穴)을 만들고 또 하나는 혈(穴) 덩어리를 감싸 주는 데 이것을 작국(作局)이라 한다. 작국(作局)은 청룡작국(靑龍作局)과 백호작국(白虎作局)이 있는데, 어느 것이 든 작국은 바람을 감추고(장풍:藏風) 물을 얻는다(득수:得水)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작국이 되면 결혈(結穴) 이 되고, 결혈이 되면 작국(作局)도 되기 마련이다.

 

 

(1)후(後)-현무(玄武): 현무수두(玄武垂頭)

현무(玄武)는 본산(本山)인 주산(主山)을 의미하는 것이고 그리고 수두(垂頭)라 하는 것은 ‘머리를 드리운다’는 뜻으로 이는 곳 머문다는 것으로 즉 멈출 곳을 정한다는 의미이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현무(玄武)는 정지하는 것이 좋고 혈(穴)에 지기(地氣)를 직접 전달하고 있어서 사신사중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다. 현무의 기운은 주작과 대칭되는 기운을 만들어 주는데 주작(朱雀)이 사회적인 평판이나 여론 등의 외부적(外部的)인 기운을 주는데 반해 현무(玄武)는 내부적(內部的)인 힘을 만들어 준다.

 

(2)전(前)-주작(朱雀): 주작상무(朱雀翔舞)

주작(朱雀)은 다가와서 상무(翔舞)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혈장(穴場)앞의 조산(朝山)과 안산(案山)이 혈판(穴板)을 향하여 새가 날아서 모여 듯한 모습을 말하는데, 주작(朱雀)은 전순(前脣)과 안산(案山)과 조산(朝山)이 서로 다름을 구별해야 하는데 주작(朱雀)은 혈판(穴板) 하부 곧 전순(氈脣)부터 멀리 있는 조산(朝山) 사이있는 모든 산을 말한다. 여기에서 전순(前脣)은 입수(入首) 기운이 혈(穴)과 선익(蟬翼)을 만든 뒤 남은 기운이 혈 아래에 평탄하게 모여 있는 공간을 말한다. 그리고 안산(案山)은 주작(朱雀) 중에서 혈에 가까이에 있는 산으로서 재산․지위․평판과 같은 기운과 연관 된다.

 

여기에서 현무와 주작의 관계를 보면 현무(玄武)가 주인이라면 주작(朱雀)은 손님 또는 보조자로서 현무보다 한 계급 낮은 것이 이상적이다. 그리고 현무(玄武)는 수두(垂頭)하는 것이 좋은데 여기에서 수두(垂頭)란 산이 뒤덮여 오는 것을 말하고,주작(朱雀)이 상무(翔舞)한다는 것에서 상무(翔舞)란 새가 날아오르는 형국을 이르는 것으로 현무의 수두는 철(凸)형의 음래(陰來)를 의미하고 주작의 상무는 요(凹) 형의 양수(陽受)를 의미하는 것으로 즉 철(凸)이 와서 요(凹)를 받는 음래양수(陰來 陽受)를 이루는 것과 같이 주작과 현무는 이와 같이 음래양수(陰來陽受)와 양래음수(陽來陰受)를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현무와 주작은 음양․양기의 보유자로서 충화(沖和)와 순화(純化)를 이루는 근본인 것이다.

 

(3)좌(左)-청룡(靑龍): 청룡완연(靑龍蜿蜒)

청룡(靑龍)은 완연(蜿蜒)89]하여야 한다는 것은 ‘지네’와 같이 굴곡(屈曲)이나 높낮이의 기복(起伏)없이 길게 혈판을 감싸주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고 또 다른 비유로는 ‘우각(牛角, 소뿔)’에 비유하여 청룡의 위로는 크고 아래로는 점점 작아지면서 안으로 혈을 중심으로 볼 때 감싸는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 좋은 청룡을 의미한다. 또한 청룡에서 나타내는 기운은 자손번창의 기운․권력 지도자의 기운 등을 가지고 있고 이 기운이 좋으면 후손(남자:男子)들이 고급공무원이 되거나 재물을 모으며 자손도 번창한다. 반대로 이 기운이 나쁘면 자손이 끊어지거나 심한 경우에는 대가 끊어지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보아서 청룡은 남자와 권력을 의미 한다고 한다.

 

(4)우(右)-백호(白虎): 백호준거(白虎蹲踞)

백호(白虎)가 준거(蹲踞)90]하여야 좋은 혈을 맺어주는데 이는 혈판을 장풍(藏風)하기 위해서는 호랑이가 웅크리고 앉아 서로 친밀하게 다정한 모습으로 맞는 듯한 것이 좋다. 또한 백호에서 발생하는 기운은 재산과 여성의 생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백호가 기능을 다하는 지역에서는 부자가 나오고 훌륭한 여성이 많이 배출되는데 딸은 물론 며느리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백호가 뒤면을 보이는 배반격의 경우에는 재물을 잃고 어려운 생활을 하게 되는 경우가 나타난다.

 

89]완연(蜿蜒): 완(蜿: 꿈틀거릴 완, 벌레가 꿈틀거릴 완), 연(蜒: 구불구불할 연)

①최창조, 청오경․금낭경, 민음사: 서울, 2003, p133.

완연이란 ‘용(龍) 또는 뱀 등이 꿈틀거리며 나아가는 모양으로, 혈의 왼쪽은 동쪽에 해당 되는데, 동쪽은 해 가 뜨는 곳으로 여름 아침에 해뜰 무렵에도 햇빛이 강렬하지는 않기에, 햇빛을 차단해 줄 수 있는 산세가 필요한 것은 아니기에, 청룡은 바로 이런 완연이란 점을 감안하여, 청룡(靑龍)의 산자(山姿)가 아기를 품에 안은 어머니의 부드럽고 휘어진 팔 모양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라 하였고,

②성필국, 명당과 생활풍수, 홍신문화사: 서울, 1996, p145.

완연이란 ‘발이 백 개가 된다는 땅지네(백족충: 百足蟲)를 말한다’고 하였다.

90]최창조, 청오경․금낭경, 민음사: 서울, 2003, p134.

준거(蹲踞): 준(蹲: 웅크릴 준, 걸터 앉을 준), 거(踞: 기대어 앉을 거)
‘백호는 준거해야 한다’는 것에서 준거(蹲踞)의 의미는, 해질녘 서쪽의 석양은 매우 따갑다. 그래서 그 햇빛을 가려줄 정도의 백호세(白虎勢)가 필요한 것이다. 그리하여 준거는 호랑이가 사납지 않게 길은 들여 졌으나, 비굴할 만큼 납작하게 엎드려 있는 정도는 아닌 산세(山勢)를 표현한 말이다.

 

(5)용호 삼격(龍虎 三格)

용호(龍虎)의 역할이 장풍(藏風)에 있고 또한 혈(穴)을 보호하는 데에 있으므로 용호(龍虎)가 한 겹 보다는 두 겹 그리고 두 겹 보다는 세 겹으로 둘러쌀수록 혈(穴)이 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일 안에 있는 용호를 내용호(內龍虎:내청룡․내백호) 그 바깥에 있는 것을 외용호(外龍虎:외청룡․외백호)라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용호가 어느 쪽에 오느냐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볼 수 있다.

 

1)본신용호(本身龍虎)는 용호가 혈 뒤의 주산(主山)에서 좌우로 마치 양팔처럼 나온 것을 의미하고,

2)외산용호(外山龍虎)는 내룡이 아닌 양측의 산이 다가와서 본신을 포옹하는 것이고,

3)주합용호(湊合龍虎)는 용호의 어느 한쪽은 본신(本身)에서 나오고 다른 한쪽은 외산(外山)이 모여 용호(龍虎)를 이룬 것을 말한다.

 

 

2.안산(案山)

 

안산(案山)91]이란 혈지(穴地)의 정면에 있는 산으로 전순(氈脣)과 조산(朝山) 사이에 있는 산으로 즉 주작사(朱雀砂)의 하나로서 혈 앞쪽에 있으며 조산(朝山)보다는 낮은 산을 말한다. 안산의 형태는 절하는 것과 같이 주산을 향하여 응기가 되어야 하며 안산은 반드시 혈(穴)의 정면(正面)에 위치를 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안산의 역할은 혈 앞의 허(虛)한 공간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안산이 혈을 향하여 등을 돌리고 있으면 자손과 부하가 배신을 하는 것이다.

안산의 형태로서 좋은 형은 일자문성안․아미사안․부봉사안 등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길사격에서 보기로 한다.

 

91]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일빛: 서울, 1999, p147. 안산(案山, 案:책상 안):

안산은 본래 ‘책상’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고대에는 책상은 높은 신분을 가진 사람이 업무를 진행하는 도구였는데, 책상을 마주하고 있는 사람이 계급이 상당히 높음을 의미했다.

 

 

 

 

 

3.조산(朝山)

 

조산(朝山)이란 주산․래룡․청룡․백호․안산 등의 바깥에 있는 산으로 조산의 자세는 혹은 높기도 하고 낮기도 하나 혈에 대하여 회포유정(回抱有情)하여야 한다.

 

또한 조산(朝山)은 혈 앞에 있는 산으로서 주산(主山)을 대한 모습이 손님이 주인을 뵙는 것처럼 신하가 임금을 알현하는 것처럼 혈에 올라가서 보면 조산(朝山)이 주산(主山)에 대해서 조공(朝拱)하는 모양을 갖추어야 조산(朝山)으로서 길(吉)한 것이다.

 

안산(案山)과 조산(朝山)의 관계에 대해서 보면 주산(主山)에 대해 손님이며 신하인 조산(朝山)보다는 생필품을 공급하는 격인 안산(案山)이 보다 더 직접적이고 더욱 중요하다. 이는 조산(朝山)은 없어도 혈이 될 수 있지만 안산(案山)이 없으면 혈(穴)을 이루기 어렵다는 것이다.

 

 

 

 

4.나성(羅城)

 

나성(羅城)이란 혈 주위에 있는 여러 사(砂)가 중첩(重疊)하고 높이 솟아 주선(周旋)하며 층층이 표리(表裏)하고 결함을 보완하고 빈틈을 막아서 마치 성의 담벼락처럼 혈을 둘러싸기 때문에 이를 나성(羅城)이라 하는데 이 나성에는 낙산(樂山)과 귀성(鬼星)이 있다.

 

(1)낙산(樂山)

혈(穴)의 뒤에서 있으면서 혈의 베개 역할을 하거나 또는 혈을 감싸주는 병풍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을 낙산(樂山)이라 한다. 이는 혈 뒤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하며 또 낙산(樂山)은 너무 멀리 있으면 그 역할을 하지 못한다.

 

(2)귀성(鬼星)

귀성(鬼星)은 혈 뒤에서 머리를 받쳐주는 산을 귀성이라 하며 귀성은 가로로 된 산(횡룡입수:橫龍入首)에서 맥이 떨어져 결혈(結穴)이 되면 혈의 뒤쪽이 비어 있어 허약하게 되는데 이곳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귀성이 위치에 따라 혈의 위치도 달라지는데 즉 귀성(鬼星)이 ‘왼쪽’에 있으면 혈도 왼쪽에 있고 귀성이 ‘오른쪽’에 있으면 혈도 오른쪽에 있는 것이다.

낙산(樂山)이나 귀성(鬼星)이나 그 역할은 혈(穴)에 기(氣)를 모일 수 있게 하는 것이며 혈이 맺어 지는 곳에서는 낙산(樂山)이나 귀성(鬼星)이나 모두 다 있든지 아니면 둘 중에 하나는 있기 마련이다.

 

 

 

 

 

 

 

 

 

 

 

 

낙산도(樂山圖)

 

 

 

 

 

 

 

귀성도(鬼星圖) 2

 

 

<그림 3-7: 낙산도(樂山圖), 귀성도(鬼星圖)>

 

 

사격(砂格)이란 혈판(穴板)의 전후좌우(前後左右)에 관계없이 혈(穴)에서 보이는 산․강․암석․평야․도로 등의 시계(視界)내의 모든 대상을 말한다. 또는 혈판의 전후좌우(前後左右)에 나열된 길흉산(吉凶山)들이 조열(照列)되어 있는 것을 사격(砂格)이라고 한다. 아름다운 산형의 사격을 길사(吉砂)라 하고 흉한 산형의 사격을 흉사(凶砂)라 한다. 본신(本身)이 된 연후(然後)에 길사가 필요한 것이지 본신이 되지 않으면 길사가 필요 없는 것이다. 사격(砂格)은 지정된 방위(方位)가 없고 당판(當板)에서 보이는 대로 사격의 형태를 정하여 길흉을 논하는 것이다. 길흉(吉凶) 사격(砂格)의 화복(禍福)은 가까울수록 속발(速發)이고 사격(砂格)이 멀리 떨어져 있으면 영향을 적게 받거나 거의 받지 않는 것이다.

 

 

5.길사격(吉砂格)

 

길사격(吉砂格)은 혈판(穴板)에 유익한 기운을 주는 산(山)으로 산의 형태도 매우 아름다운 산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음과 10가지로 나누어 보고자 한다.

 

 

砂格圖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그림 3-8: 길사도(吉砂圖)>

 

 

(1)군왕사(君王砂)

위의 그림에서 보는 군왕사(君王砂)는 혈판(穴板)에서 결혈(結穴)이 된 후에 용의 흐름이 열십자(+)모양으로 출맥(出脈)하는 것으로 이는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똑같이 열십자 모양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군왕사의 형태는 조산(祖山)의 모양이 일자문성(一字文星)으로 되어 있으면서 철옹성처럼 단단한 바위로 구성된 것도 군왕사이며 마지막으로 주작(朱雀)의 안산(案山)이나 조산(朝山)의 형태가 역시 일자문성으로 되어 있으면서 단단한 바위로 이루어져 직접 혈판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군왕사(君王砂)라 한다. 물론 군왕사가 발복(發福)이 되기 위해서는 먼 선조의 묘소가 아닌 가까운 선친의 묘소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2)어병사(御倂砂)

어병사(御屛砂)란 청룡과 백호가 수려(秀麗)하고 양명(陽明)하면서 부드러운 산들이 병풍을 두른 듯이 보국(保局)이 된 사(砂)을 말하는 것으로 어병사에서는 극품(極品)벼슬이 난다고 하였는데 이는 왕비(王妃)나 장상(將相)97]을 말하는 것이다.

 

97]장상(將相): 장수와 재상을 아울러 이르는 말. 옛날에는 문관과 무관을 같이 존중하였다. 뿐더러 그 부름에 있어서 장상이라 하여, 장을 먼저 놓고 상을 아래 놓아서 무관을 도리어 더 존중하였다.

 

<그림 3-9: 어병사(御屛砂)>

 

 

(3)독봉사(獨峰砂)

독봉사(獨峰砂)는 어느 산맥(山脈)과도 연결이 없는 무연독산(無連獨山)을 말하지만 주위산형(周圍山形)과 산세(山勢)가 관련성(關聯性)에 의하여 명기(明氣)가 독봉(獨峰)으로 용출(聳出)한 것으로 때로는 논밭 가운데에도 있다. 산의 형태가 약한 곳에서는 군수급의 자손이 태어나고 독봉이지만 산의 형태가 분명하고 크면 도지사급의 장관도 날 수 있는 사(砂)인 것이다.

 

(4)군수사(郡守砂)

귀봉(貴峰)은 예쁘고 귀(貴)하기는 하나 특이한 점이 없이 생긴 봉우리를 통털어 귀봉(貴峰)이라 하는데 여기에서 군수사(郡守砂)는 귀봉사격(貴峰砂格)의 약간 솟은 일출(日出)의 모습의 산이고 화복(禍福)을 보면 일출형(日出形)은 향촌(鄕村)의 어른이라 하였는데 여기서는 군수(郡守)급의 벼슬이나 부자가 나는 사(砂)인 것이다.

 

(5)부봉사(富峰砂): 노적봉(露積峰)

부봉사(富峰砂)는 산천정기(山川精氣)가 충만(充滿)되어 정원(正圓) 수려(秀麗)하게 이루어지는 모습으로 마치 ‘수박’이 결실한 모습이나 또는 ‘바가지’나 ‘철모'를 엎어 놓은 모습과 같은 산형(山形)으로 오행산형(五行山形)중에서 금형산(金形山)에 해당하는 부봉사(富峰砂)는 거부자손이 태어나는 곳으로 산형의 모습이 후덕한 것이 특징이다.

 

(6)문현사(文賢砂)

문현사(文賢砂)는 암석(岩石)으로 이루어져 승천(昇天)하는 듯한 기상(氣象)으로 장엄(莊嚴)한 모습을 하고 있는 사(砂)로 여기에서는 성현군자(聖賢君子)와 제왕후(帝王候)가 태어나는 사격(砂格)이다. 문현사에서 제왕이 나면 성군(聖君)이 되고 장상(將相)이나 열사(烈士)도 태어나는 귀사(貴社)이다.

 

(7)아미사(蛾眉砂): 무수옥대사(無水玉帶砂)

아미사(蛾眉砂)란 산이 물위에 떠있는 듯 보이는 것이 미인의 반달형 눈썹과 비슷하거나 또는 초생달 모양과 같은 것을 말하고 만약 물이 없으면 옥대를 끌러서말아 놓은 듯하다 하여 옥대사(玉帶砂)라고 한다. 아미사(蛾眉砂)가 이면 미인(美人)이나 왕비(王妃)가 나고 옥대사(玉帶砂)이면 그 자손들이 관직에 오르는 길격(吉格)의 사(砂)인 것이다.

 

(8)문필사(文筆砂)

문필사(文筆砂)는 산의 꼭대기의 형태가 뾰족한 ‘붓’처럼 생긴 것을 이르는데 여기에서는 명필가나 문장가가 나는 사(砂)이다. 문필사(文筆砂)는 용수(聳秀)하여야 정상적인 문필봉(文筆峰)이 되는 것이다.

 

(9)영상사(領相砂)

영상사(領相砂)는 토형산(土形山)의 꼭대기인 일자문성(一字文星)의 양끝이 올라가 이루어진 사(砂)로서 현재의 국무총리급이 나는 사격(砂格)을 말하고 영상사이기는 하나 암석(岩石)으로 단단하게 산의 형상이 이루어지면 제왕(帝王)이 나는 사(砂)인 것이다. 산위의 일자가 길수록 좋은 것으로 이는 일자문성이 빛나고 선명하고 잡목이 없고 수려하여야 길격(吉格)이 되는 것이다.

 

(10)지사사(知事砂)

산의 모양은 살이 찌지 않고 중심축이 잘 잡힌 날씬하고 준수한 문필사(文筆砂)의 꼭대기 끝이 수평으로 잘린 현상으로 이 지사사(知事砂)가 있는 곳에서는 지사급의 인물이 나는 것이다.

 

<그림 3-10 : 문현사(文賢砂), 지사사(知事砂)>

 

 

6.흉사격(凶砂格)100]

 

흉사격(凶砂格)은 혈판에 좋지 않은 기운을 주는 산으로 산의 형태를 보기에도 추하고 흉한 산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음과 10가지로 나누어 보고자 한다.

 

왜사파쇄생성흉악지 위기품자위흉시야(歪斜破碎生成凶惡之 爲器品者爲凶是也): 비뚤어지고 기울고 깨진 것 이 흉악한 물형으로 이루어지면 흉사격이 되는 것이다. 혈 주변에 산이 사태가 나서 골이 치마의 주름같이 되거나, 큰 암석이 호랑이 같거나, 칼날같이 날카로운 형상이면 흉사격이 되는 것이다.

 

 

 

<그림 3-11 : 흉사도(凶砂圖)>

 

 

(1)산산형(散山形)

산산(散山)이란 산지엽(山枝葉)이 좌우로 산산(散山)된 것을 말하는데 즉 혈판(穴板) 주위의 모든 산이 흩어지는 형(形)의 사(砂)이고 이로 인해 산의 기운이 분산되어 흩어지는 형태이다. 산산형(散山形)에서는 대표적으로 재패(財敗)가 일어나고 인패(人敗)와 관패(官敗)도 일어나는 산이다. 군왕사(君王砂)와 반대되는 사격(砂格)인 것이다.

 

<그림 3-12 : 산산형(散山形)>

 

 

(2)절산형(絶山形)

절산형(絶山形)은 용맥(龍脈)이 끊어진 형태의 사(砂)로서 절손형(絶孫形)이라고도 한다. 이는 주로 산이 돌아간 뒤쪽이나 또는 무연독산(無連獨山)에 나타나는 사(砂)인 것이다.

 

(3)도주형(逃走形)

결혈이 되지 않는 용의 뒤쪽인 배산(背山)에 붙여서 쓰고 청룡과 백호도 혈을 감싸지 않고 등을 돌리고 배산하여 도망을 가는 산이다. 비주사(飛走砂)라고도 하는 도주형에서는 야반도주(夜半逃走)하는 도망자가 태어나는 사(砂)이다.

 

(4)역리형(逆理形)

청룡과 백호가 모아지지 않고 흩어진 산에서 산자락의 끝 부분이 치켜들어 역산(逆山)한 사(砂)를 말하고 여기에서는 역적(逆賊)과 불효(不孝)하고 불충(不忠)하는 자손이 태어나는 곳이다.

 

(5)결항형(結項形)

흉산(凶山)의 비혈(非穴)에 입수를 하기위해 오는 용맥(龍脈)이 잘록하고 가늘게 끊어질 듯 이여지고 끊어질 듯 이어진 산으로 여기에서는 목매달아 죽게 되는 손(孫)이 나오는 산형(山形)이다.

 

(6)압사형(壓死形)

혈판의 한쪽의 산이 떨어져 나간 듯한 모습이거나 또는 산이 납작하게 찌그러진 형태의 산을 말하는 사(砂)로 이곳에서 주로 교통사고나 또는 어떤 물체에 끼여서 죽는 산형(산형)의 흉사(凶砂)를 말한다.

 

(7)검살형(劒殺形)

혈판에서 보았을 때 앉으면 잘 안보이고 서면 보일 듯한 산형으로 길게 검(劍)모양으로 보이거나 또는 아슬아슬하게 넘겨 다 보이는 사(砂)로 여기서는 이금치사(以金致死)를 당한다. 즉 칼이나 총 등의 철(鐵)과 관련된 연장이나 무기에 죽는 산형(山形)이다.

 

(8)낙사형(落死形)

땅에 떨어뜨린 메주처럼 납작하게 분산되거나 또는 마르지 않은 흙벽돌을 땅바닥에 떨어뜨려 땅바닥에 붙은 형상처럼 흩어진 산의 모습을 말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고층빌딩이나 비행기 자동차 등에서 추락으로 사망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오는 산이다.

 

(9)규봉형(窺峰形)

당판(當板)에서 보이는 산이 그 형태가 보일 듯 말 듯한 즉 앉은 자세에서는 잘 보이지 않으나 서서 보게 되면 잘 보이는 형태로 마치 담 너머나 창문 틈을 통하여 집안을 넘겨다보는 사(砂)를 규봉형이라 한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귀형규봉(貴形窺峰)은 귀(貴)는 관(官)이니 이는 관재구설(官災口舌)로 많은 손재(損財)를 보게 될 것이고, 미형규봉(眉形窺峰)은 도적이나 사기를 당하는 손재(損財)의 규봉(窺峰)을 이르고, 화형규봉(火形窺峰)은 화재로 재패(財敗)와 인패(人敗)가 나는 산이다.

 

<그림 3-13 : 규봉형(窺峰形)>

 

(10)현군형(縣裙形)

현군형은 산 모양이 여자의 주름치마처럼 여러 갈래의 능선으로 분산되어 있는산(山)으로 능선과 능선사이에 골짜기가 형성되어 있는 현군(縣裙) 음탕형(淫蕩形)의 산으로 여자로 인하여 상처(喪妻)․도적(盜賊)․사기(詐欺)․관재(官災)가 일어나서 패가망신하는 사(砂)이다.

 

 

 

 

 

 

 

 

 

 

 

 

 

 

출처 : 마음의 정원
글쓴이 : 마음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

'인문학 풍수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용득 양택론  (0) 2018.02.16
ㅇ장용득 형국론  (0) 2018.02.16
하남 장용득 풍수 이론  (0) 2018.02.13
박시익 풍수 강의  (0) 2018.02.12
풍수 장용득  (0) 2018.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