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소식

호주산불 3개월

참도 2020. 1. 7. 09:07

호주 휩쓰는 시속 200km 화염토네이도..남한 절반 면적 태워

강찬수 입력 2020.01.07. 00:04 수정 2020.01.07. 07:01

                      
높이 10~50m, 중심 온도 1000도
회오리바람에 불씨 수백m 날아가
지난해 강원도 산불 때도 나타나
연기가 만든 적란운선 마른번개
사방에 새로운 산불 만들어내
지난해 9월 발화, 사망자만 24명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사우스햄튼에서 지난해 목격된 거대한 화염 토네이도.
 산불을 잡지 못하는 주요한 원인이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해 9월 시작해 해를 넘기면서까지 꺼질 줄 모르고 번지는 호주 산불로 남한 면적의
 절반 가까운 4만9000여㎢가 불탔고, 사망자도 소방관을 비롯해 24명에 이르고 있다.
코알라·캥거루 등 야생동물의 피해도 작지 않다.
        

석 달이 넘도록 산불을 잡지 못하는 것은 왜일까.

호주는 세계 인구 거주 지역 중 가장 건조한 곳이다.

가뭄까지 겹치면서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다.

여기에 시속 30~40㎞의 강풍이 불고, 40도를 오르내리는 폭염까지 이어지면서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산불 지역 곳곳에서 불꽃이 하늘로 치솟는 ‘화염 토네이도(firenado)’ 현상까지 관찰되고 있다.

 뜨거운 공기와 먼지, 잡동사니가 한꺼번에 소용돌이치는 화염 토네이도는

 ‘파이어 데블(fire devil)’로도 불린다. 말 그대로 화마(火魔)다.

5일(현지시간) 산불이 번져 소개령이 내려진 호주의 남동부 해안도시
말라쿠타의 주민들이 구조 헬기에 오르고 있다. [AP=연합뉴스]
화염 토네이도는 건조하고 뜨거운 공기, 그리고 불이 만나면 만들어진다.
 공기는 더워지면 상승한다.
공기가 더 건조해지고, 더 뜨거워지면 상승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공기가 회전을 시작하면 바깥보다 안쪽이 더 빨리 회전하게 된다.
뜨거운 공기가 회전하고 상승하면 주변 공기가 중심으로 빨려들게 된다.
중심부 공기는 점점 더 빨리 회전하고 상승한다.

이때 주변에 산불이 발생했다면 불꽃까지 빨아들이게 된다.
그게 ‘화염 토네이도’다.
화염토네이도
화염 토네이도는 산불이 발생할 때 드물지 않게 나타난다.
2003년 호주 산불 때나 최근 캘리포니아 산불 때도 관찰됐다.
화산 분화구 주변이나 엄청난 규모로 폭탄을 퍼부었을 때 나타나기도 한다.

 최대 시속 200㎞(초속 55m)의 강풍을 동반하는 화염 토네이도는 10~20분 정도로 수명이 짧다.
 중심에서는 온도가 1000도 안팎까지 상승한다.
 화염 토네이도의 높이는 보통 10~50m지만 높이가 수백 m에 이를 때도 있다.
        

산불 토네이도는 하늘 위 구름으로 이어지는 진짜 토네이도와는 다르다.

토네이도는 천둥·번개·폭우를 동반한 거대한 폭풍우 속에서 만들어진다.

거대한 뇌우 구름 속에 회전하는 공기 덩어리인 메조사이클론(meso-cyclone)이

 존재할 경우 20% 정도가 토네이도로 발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염토네이도
상층의 강한 바람과 하층의 약한 바람이 만나면 두 바람 사이에서 공기 덩어리가 회전하게 된다.
두 손바닥 사이에 연필을 끼우고 손바닥을 비빌 때 연필이 돌아가는 것처럼
수평으로 드러누운 메조사이클론이 만들어진다.

 메조사이클론은 어느 순간 수직으로 벌떡 일어서게 된다.
지표면이 차등 가열돼 더 많이 뜨거워진 쪽에서 상승기류가 생긴 탓이다.

그런 상태에서 메조사이클론의 아랫부분이 고속 하강기류의 영향으로 지표면까지 늘어지면


토네이도가 된다. 전체 높이 10㎞ 이상 되는 메조사이클론 중에서

통상 지표면에서 1㎞ 정도까지가 토네이도다.

뉴사우스웨일스 주 베라라 비치까지 산불이 번지자
캥거루가 주택가로 몰려들었다. [AP=연합뉴스]
호주에선 산불이 계속되면서 마른번개까지 잦아 산불이 추가 발생하고 있다.
뇌우를 동반하는 산불 적란운(pyrocumulonimbus)이 만들어지면서
‘화재 폭풍(fire storm)’으로 이어진다.

15㎞ 고도까지 솟은 산불 적란운에서는 번개가 치지만 비는 내리지 않고,
 먼 곳에 새로 불을 놓는 역할을 한다.
높은 곳에서 사방으로 불꽃을 쏘는 셈이어서 산불이 갑자기 수십㎞ 떨어진 곳까지 점프하게 된다.

산불 적란운으로 마른번개가 떨어져 새로운 지점에서 산불이 시작되고,
산불은 화염 토네이도로 이어진다.
화염 토네이도로 인해 발생한 연기는 하늘로 치솟아 산불 적란운을 키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권춘근 박사는 “화염 토네이도와 산불 적란운이

 서로 키워가는 악순환이 이어지면서 호주 산불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호주 기상청과 전문가들은 산불 규모가 매년 커지고, 산불 시즌도 길어진 배경으로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를 지목하고 있다.

지난달 22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애들레이드 인근 커들리 크릭에서
소방관들이 젖병에 담긴 물을 코알라에게 먹이고 있다. [AP=연합뉴스]
과거 대형 산불과 마찬가지로 지난해 4월 강원도 산불이 커진 것도 강풍 탓이 컸다.
지난해 4월 4일 미시령에서는 최대순간풍속이 나무가 뽑힐 정도인35.6m의 강풍이 불었다.
이른바 ‘양간지풍(襄杆之風)’ 또는 ‘양강지풍(襄江之風)’이다.

 이런 강풍 속에서 산불이 나면 화염 토네이도까지 발생한다.
화염 토네이도가 발생하면 수관화(樹冠火)로 이어진다.
수관화는 나무의 가지나 잎이 무성한 부분만 태우며 빠르게 지나가는 산불이다.
        

권춘근 박사는 “화염 토네이도가 발생하면 불이 붙은 작은 나뭇가지나 솔방울이 빨려 들어오고

, 불씨는 바람에 날려 멀리 날아간다”며 “이를 비화(飛火) 또는 ‘도깨비불’이라고 한다”고 말했다.

 도깨비불은 불씨가 수백m를 날아가기도 한다. 2㎞를 건너뛰기도 한다.


그는 “산불 예방을 위해서는 시민들이 평소 산불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발생 원인을 미리 차단하고, 일단 산불이 발생하면 초동 진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지구촌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규슈 구마모토현 홍수  (0) 2020.07.07
ㄴ코로나19 이전 과 이후  (0) 2020.04.13
통일교   (0) 2020.02.07
일본 크르즈 여행선 우한페렴 10명   (0) 2020.02.06
빙하  (0) 2019.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