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 전문의 95% "당직서도 조기퇴근 꿈도 못 꿔"
[서울신문]
뇌졸중 환자 10만명 늘어나는데
신경과 전문의는 고작 127명 증가
하루도 빠짐없이 야간당직 서기도
급성 뇌졸중 치료 인력 대책 필요
인구 고령화로 뇌졸중 환자의 적정 시간 내 병원 도착을 의미하는 ‘골든타임’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지만,
정작 환자를 치료해야 할 신경과 의사가 부족해 인력난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연간 20만명인 규모인 뇌졸중 환자 수는 10년 뒤 10만명이 늘지만,
이들을 담당할 신경과 전문의 수는 고작 127명이 늘어나는 것으로 예측됐다.
인력부족이 심화하면서 신경과 전문의 95%는 전날 야간 당직을 서고도 조기퇴근은 꿈도 못 꾸고,
심지어 일부 의사는 단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일 야간 당직을 설 정도로 격무에 시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2일 대한신경과학회에 따르면 연간 뇌졸중 환자 수는 2015년 17만 730명에서
올해 21만 155명,
2025년 25만 3944명,
2030년 30만 500명,
2035년 35만 529명,
2040년 39만 9417명으로 해마다 약 1만명씩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병원에서 근무하는 55세 이하 신경과 전문의는 2017년 1428명에서
2030년 1555명으로 127명이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신경과 전공의(레지던트) 정원이 현재처럼 82명으로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계산한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신경과 전공의 정원이 지원자 수에 비해 너무 과도하게 책정됐다고 판단해 정원을 해마다 줄여왔다.
의대생들이 신경과를 기피하는 현상이 점차 심화하자 정원을 줄여 충원율을 높이는 방법을 택한 것이다.
●40%는 “모든 응급환자 상대”…과로가 일상
그래서 신경과 전공의 정원은 2015년 93명에서 2016년 88명,
2017년 87명, 2018년 82명으로 해마다 인원을 줄였다.
이 대책으로 2016년부터 신경과 전공의 충원율은 해마다 97%를 넘기는 등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학계 전문가들은 이 정책 때문에 신경과 전문의 수급이 크게 악화했다고 지적한다.
한 해 최소 110명의 전공의가 추가로 필요한데 오히려 전공의 정원을 줄여 인력난이 심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신경과학회는 “올해부터 110명을 해마다 충원하면
그나마 2030년 55세 이하 전문의가 240명 늘어난다”고 밝혔다.
급성 뇌졸중은 촌각을 다투는 질병인데다 언제 발생할 지 예측할 수 없어 24시간 의료진 대기가 필수다.
응급실 중증 환자의 절반이 뇌졸중, 심근경색증 환자라는 조사결과도 있다.
따라서 의료진의 근무환경은 열악할 수 밖에 없다.
대한뇌졸중학회가 2017년 대학병원 56곳을 포함한 전국 81개 병원 신경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퇴근했다가도 일이 생기면 병원으로 복귀하는 ‘온 콜’ 근무를 서는 곳이 67곳(82.7%)에 이르렀다.
혈관을 뚫거나 우회시키는 시술을 할 때만 복귀하는 병원도 있었지만 27곳(40.3%)은
“모든 응급상황에 의사가 복귀한다”고 밝혔다.
그런데도 택시비 등 ‘교통비’ 보상조차 없는 곳이 32곳(39.5%)에 이르렀다.
전문의 수급여건은 시간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2017년 12월 1주당 근무시간을 최대 88시간(연속근무는 36시간)으로 제한한
전공의법 제정 이후에도 전문의 채용은 늘지 않다보니 대학병원 교수들이 외래진료와 당직근무를 병행해야 할 상황에 처했다.
81개 병원 신경과 전문의에게 물었더니 64명(79.0%)이 “인력난이 더 악화할 것”이라고 밝혔고,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는 본 의사는 4명(4.9%)뿐이었다.
야간에 당직을 서면서 응급환자를 돌보는 의사 3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날 조기 퇴근이 가능하다”는 인원은 2명(5.6%) 뿐이었다.
심지어 1명은 “매일 당직 근무를 선다”고 했다.
●“급여 인상” “전공의 안정적 확보” 요구
정진상 신경과학회 이사장은 학회 행사에서 “대한의사협회에서 반대한다고 해도
해외에서 의사를 수입해 교육시킬 수 밖에 없다”고 울분을 토하기도 했다.
신경과 전문의 42명 대상 조사에서 필요한 지원(복수응답)에 대해 물었더니
급여인상 및 수당 현실화(85.7%), 안정적인 전공의 확보 및 보조인력 확충(78.6%)을 가장 많이 거론했다.
신경과 의사 부족은 급성기 질환인 뇌졸중뿐만 아니라 치매 등 노인질환 관리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윤성상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전공의 충원율이 표면적으로는 100%에 가깝다 보니 인원 추가모집도 불가능해졌다”며
“전공의 모집 과정에 다른 과에서 탈락한 인원이라도 추가로 모집할 수 있게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전공의는 법으로 쉴 수 있게 하지만 전문의는 무제한 근무할 수 있게 돼 있어
인원이 부족한 일부 지방병원은 인력을 혹사시키는 사례가 많다”며
“신경과 전문의는 요양병원에 필수이지만 실제로는 인건비가 덜 드는 타과 의사를 모집하는 사례가 많아
미래도 불투명하고 여러모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