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의 영향력이 조중동 보다 우위에 있다는 것이냐?
= 영향력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네이버의 영향력이 조중동보다 못하다고 하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게 사실이다. 영향력을 수치로 계량화하기는 어렵겠지만 인터넷을 이용하는 10명중 7명은 네이버를 통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고 정부의
직권조사에 이어 국회에서도 '네이버 규제법' 제정에 착수한 걸 보면 네이버의 영향력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네이버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기존 언론사들의 수익창출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문제가 커진 것이다. 1차적 핵심은 영향력이지만 결국은 돈으로 귀결되는 셈이다.
"NHN은 1999년 창업 이래 13년 만인 2012년 매출액 2조4000억원, 영업이익 7020억원을 달성한 대기업으로 성장했다. 국내 검색 시장점유율 75%를 차지하는 네이버의 시장 장악력은 압도적이다. 그래서 세계 인터넷 검색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구글조차 한국에서는 전혀 힘을 쓰지 못한다. 네이버는 '수퍼 갑(甲)'보다 힘이 센 '울트라 갑'이다(조선일보 5월 15일자 사설)"
네이버의 지난해 매출 2조4천억원은 지난해 35개 주요 신문사들의 매출총액 2조4890억원에 버금가는 것이다. 조선일보의 매출이 3620억원, 중앙일보 3132억원이니까 네이버의 매출이 어느 정도인지 비교가 될 것이다. (신문사 매출은 이상기 부경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35개 신문사 감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임)
이익규모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네이버는 7천억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달성했지만 조중동은 종편 진출로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 조선일보가 소폭이나마 흑자(당기순이익 230억원, 5년 연속 흑자)를 냈지만 중앙일보는 404억원의 적자를 동아일보는 304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네이버는 어떤 입장이냐?
= 네이버는 공식적으로 조중동 등 메이저 언론사들의 집중포격에 바짝 엎드려 있다. 반박하는 자료를 내거나 해당 언론사에 항의하지도 않는다.
네이버 홍보팀 관계자는 "네이버는 언론사들의 보도 중 고쳐야할 부분이 있는지 스스로를 돌아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네이버의 핵심관계자는 "언론사를 적으로 돌려서 싸우고 싶은 생각은 없다"라고 밝혔다.
전쟁이 되려면 네이버가 조중동(매)의 집중포격에 반격도 하고 반박자료도 내고 그렇게 해야 하지만 네이버는 아직까지 '묵묵부답'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렇다고 속이 편한 건 아니다.
네이버의 한 관계자는 "네이버를 때린다고 해결책이 나오냐?"고 반문하면서 "신문사와 네이버는 광고주가 다르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네이버의 광고주는 20만명에 이르는데 70%이상이 월 100만원 미만의 소액광고주로 네이버에 광고를 못한다고 신문사에 광고를 할 형편이 아니다"라면서 "네이버 규제법을 만든다고 조선일보가 반짝이라고 반사이익을 볼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네이버는 지금은 언론보도에 무대응 원칙을 유지하고 있지만 이른바 '네이버 규제법'이 국회에서 구체적인 제정 작업에 들어갈 경우 충분한 입장을 밝힌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고 한다.
▶ 조중동이 네이버를 집중 견제하는 것은 연합뉴스 때문이다 이런 주장도 있던데?
= 그런 점이 있다. 조중동은 연합뉴스와 전재료 계약을 하면서 네이버에 뉴스공급을 중단하라고 요구했지만 연합뉴스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전재계약을 끊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동아일보가 전재 계약을 중단한 것이다.
문제가 불거진 표면적인 이유는 전재료가 비싸다는 것이지만, 신문사들은 포털사이트에서 뉴스의 대부분이 소비되는 상황에서 연합뉴스가 포털에 기사를 공급해 회원사들과 직접 경쟁을 벌이는 게 적절치 않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포털에 실시간으로 연합뉴스의 기사가 공급되면서 연간 수억 원의 전재료를 내면서 서비스를 받는 효용이 없어졌다는 불만도 나온다.
연합뉴스는 언론사에 뉴스를 공급하는 일종의 도매상인데 포털에 뉴스를 공급하면서
자신들이 뉴스를 공급하는 소매상(언론사)들과 소매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포털사이트 네이버나 다음에 들어가면 주요기사의 대부분이 연합뉴스 기사로 채워져 있는 걸 볼 수 있다.
신문사에는 3억원에서 7억원씩 받고 뉴스를 제공하는데 포털사이트에는 공짜(콘텐츠
사용료를 지급하지만 네티즌은 무료로 이용)로 노출되니까 신문사들이 추진하는 뉴스
유료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연합뉴스는 정부로부터 연간 300억원이 넘는 예산을 지원받고 있는데 포털사이트가 각 언론사에 지급하는 전체 콘텐츠사용료가 대략 300억원에서 350억원 규모인데 이 중
1/3이상이 연합뉴스로 흘러간다고 한다. 언론진흥재단의 한 관계자는 "전체 포털사이트가 언론사에 지급하는 뉴스사용료(콘텐츠사용료) 중 1/3 정도가 연합뉴스로 들어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와의 전재계약을 중단한 조중동의 한 관계자는 "연합 전제를 끊었지만 아무런
불편함이 없다"라고 말했다.
▶조중동과 네이버의 전쟁 결과는 어떻게 될 것 같나?
= 쉽게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전문가들이 한결같이 진단하는 것은 조중동(매) 아무리 네이버를 공격한다고 해도 지금의 뉴스소비 추세가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상지대 김경환 교수는 "메이저 신문들이 네이버를 공격한다고 해도 네티즌들의 뉴스 소비 형태는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고 한국외대 김춘식 교수는 "언론사들이 네이버에 대응해 언론사 포털을 만들더라도 뉴스만을 보기위해 언론사 포털을 찾지는 않을 것"
이라고 말했다.
미디어오늘 이정환 기자는 "조중동이 네이버에서 탈퇴한다고 해도 네이버의 영향력은 줄어들지 않을 것이고 오히려 빠져나간 언론사만 영향력이 줄어들 것"이라면서 "네이버에 대한 법적규제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네이버의 고위관계자도 "네이버를 규제하면 그 혜택이 다른 포털로 옮겨가지 조중동(매)으로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구글이 미국이나 유럽에서 90% 이상을 독점하고 있지만 규제를 받지 않는다. 세계적으로 인터넷 산업을 규제하는 나라는 없다"면서 ""인터넷 산업에 대한 규제는 혁신을 둔화시키고 이용자에게 피해가 가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여당 그리고 야당까지 가세하면서 이른바 '네이버 규제법'을 추진하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네이버가 공룡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경쟁력을 가진 포털을 규제해서 얻을 건 없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네이버의 인터넷 독식구조를 개선해야 하겠지만 이는 IT산업계 내부 경쟁을 통해 이뤄지도록 해야지 정부의 규제를 통해서는 해결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해결...문제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좌익효수 국정원직원 댓글 (0) | 2013.09.02 |
---|---|
편집권 독립상황 후태 (0) | 2013.08.12 |
부정선거 (0) | 2013.07.05 |
원세훈 자기멋대로 충성강요 (0) | 2013.07.02 |
kbs 방송 문제지적 피디 보직해임 (0) | 2013.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