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문제잇

경인운하

참도 2011. 2. 20. 19:54

 

경인운하 공사장 파보니 ‘오염의 고속도로’가…

한겨레 | 입력 2011.02.20 12:20 | 수정 2011.02.20 17:10 | 누가 봤을까? 50대 남성, 인천

 


[한겨레] 수자원공사, 관정 폐공 안한채 파묻은 것으로 드러나
민주당 김진애 의원 "4대강 현장 전역 전수조사해야"


지난 16일 오전 11시 김포시 고촌읍 전호리 경인운하 물류단지인 김포터미널 공사 현장.

포클레인 한 대가 단단하게 다져진 바닥을 파헤치기 시작했다. 2시간 쯤 지나 2미터쯤 파고 들어가자

 폐비닐과 앙상하게 뼈만 남은 채 으스러져 있는 비닐하우스 철골구조가 모습을 드러냈다.

모두 불법 폐기물들이었다. 현장에 나와 있던 수자원공사 관계자들의 표정이 굳어졌다.

더 파들어가자 이번에는 관정에 연결해 쓰는 고무호스가 나타났다. 근처에 관정이 있다는 표시였다.

김태열 경인항 건설단장이 갑자기 포클레인 작업을 중지시켰다. 국토해양위 소속 민주당 김진애 의원이 "좀 더 파보면 관정이 나올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김 단장은 "나중에 하자"며 고개를 저었다.

김 의원의 계속된 요청으로 작업은 이틀 뒤인 18일 오전 8시에 재개될 수 있었다.

바로 아래에서 지름 150mm와 200mm 크기의 관정 두 개가 발견됐다.

폐공처리 안된 관정이 있을 리 없다던 수자원공사 관계자들은 입을 다물었다. 

수자원공사(이하 수공)가 공사현장에 설치돼 있던 지하수 관정을 제대로 폐공처리 하지 않은 채 경인운하 공사를 강행하고 있는 것으로  수공이 되레 수자원을 오염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관정은 지하수를 끌어올리려는 목적으로 얕게는 20m 에서 깊게는 150m까지 꽂아 넣은 관을 말한다.

사용을 끝낸 관정은 지하수법상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한 뒤 국토해양부 지침에 맞추어

시멘트로 봉합해 폐공처리해야 한다. 폐공처리 하지 않은 관정은 '오염물질의 고속도로' 구실을 하게 되어 지하수 오염의 주범이 된다.

김포시에 신고된 경인운하 물류단지 공사현장의 관정은 26개. 신고되지 않고 농민들이 파서 쓰던 관정까지 더하면 170여 개에 이른다. 하지만 수공이 폐공처리했다고 신고한 관정수는 2개에 불과해 지하 수십미터 아래 지하수에 연결된 대부분의 관정이 적절한 조치없이 그대로 준설토에 파묻히거나 부실하게 폐공처리 된 것으로 보인다.

수공은 현장 검증이 이뤄진 16일까지도 논리에 맞지 않는 해명과 책임회피에 급급했다.

수공은 취재가 시작되자 "규정대로 폐공처리하지 않은 관정은 없다"며 "보상금을 노린 김포시

주민들의 악의적인 제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포시가 "이곳의 26개 관정 중 폐공처리 신고 된 관정이

두개 뿐"이라고 밝히자 말을 바꿔 "(농민들이) 신고하지 않은 관정이 많아 위치를 제대로 알 수 없었고

20미터 깊이로 겉흙층까지만 판 관정이 대부분이어서 따로 (국토해양부 지침대로) 폐공처리 할

필요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고촌읍 주민들이 2010년 8월 수자원공사에 제출한 '지장물 보상 신고 자료'를 보면, 수공은 공사현장에 설치돼 있던 170여개 관정의 위치와 크기를 모두 파악하고 있었다. '20미터 깊이로 낮게 묻은 관정은 폐공처리 할 필요가 없다'는 수자원공사의 설명에도 무리가 있다. '지하수법 15조'는 깊이에 따라 관정을 분류하지 않고 '지하수 개발·이용이 끝나면 해당 시설 및 토지를 원상 복구하여야 한다'고 되어있을 뿐이다.

박창근 시민환경연구소 소장은 "지하수법에는 소형관정과 대형관정을 분류하지 않고 모든 관정을 폐공처리 하도록 하고 있다"며 "수자원공사가 지하수법을 어기고 수자원을 오염시켰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

허재현 기자 catalunia@hani.co.kr

책임 방기한 수자원공사, 국책사업 일정 맞추느라?

수자원공사는 지난 2001년부터 포상금을 걸고 폐공신고 캠페인까지 벌여 지하수 보호에 나서고 있다. 방치된 폐공은 지하수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에 드러난 것처럼 수공은 경인운하 공사지역의 지하수 보호에는 사실상 손을 놓아 버린 모순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번 오염된 지하수는 사실상 깨끗하게 회복시킬 방법이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수공이 지하수 오염 문제를 방기했다는 것은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수자원공사가 이렇게 지하수 오염문제를 방기한 채 공사를 강행한 것은 올해 상반기 보 건설이 완료돼 형태가 갖춰지는 '4대강 사업'과 공사 속도를 맞추려 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김포시 관계자는 "경인운하는 당초 2012년 안에 완공할 예정이었으나, 최근 올해 10월로 공기가 단축됐다"고 말했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김진애 의원(민주당)은 "수자원공사가 공기 일정을 맞추려고 환경오염 방지에는 관심조차 기울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공기 단축을 위한 수공의 무리한 공사 추진은 경인운하 건설을 위해 토지를 내어준 김포시 주민들의 목격담으로 확인된다. 경인운하 물류단지 터에서 유기농사를 짓던 고재평(농민·50)씨는 "수공은 지난해 9월 보상이 끝나기도 전에 농지를 수용하더니 며칠 지나지 않아 곧바로 논을 파 엎었다"고 말했다. 고 이사는 "(시공회사가)논에 있던 관정을 폐공 처리 하지 않고, 비닐하우스 등 구조물까지 치우지 않고 흙으로 덮어버리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시공을 맡은 에스케이 건설 관계자는 "관정의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고 흙으로 덮은 것은 사실이나 수자원법을 어길 생각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환경단체들은 이번에 드러난 미폐공 관정이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경인운하 외에도 4대강 사업구간 곳곳에서 관정 폐공 처리를 하지 않은 채 공사를 강행해 지하수가 오염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정황도 확인된다. 임희자 '4대강 사업저지 낙동강 지키기 경남본부' 집행위원장은 "수자원공사가 2009년 말 낙동강 합천보 일대와 창녕 길곡면 인근에서 관정 폐공 처리하지 않은 채 4대강 공사를 강행해 문제제기 한 적 있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낙동강 일대에는 공사구간으로 편입된 농토가 많은데 이곳에 방치된 관정이 제대로 폐공처리 됐는 지 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진애 의원은 "구제역 가축 매몰지 인근 지하수가 심각하게 오염되고 있는 시점에서 수자원공사가 이렇게 지하수오염 문제를 방치한 것은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며 "경인운하와 4대강 공사구간 전역에 대한 작업일지를 확보해 관정 폐공 처리를 제대로 했는지 전수조사 하겠다"고 밝혔다.

허재현 기자 catalunia@hani.co.kr

'해결...문제잇' 카테고리의 다른 글

65세 이상노인 약제비 과다  (0) 2011.03.19
예능계 대학교수  (0) 2011.02.28
명박 아이고  (0) 2011.02.15
젊은여작가 죽음  (0) 2011.02.09
2011 전세 반월세  (0) 2011.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