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유튜브 경제 제테크 라이프 스타일

참도 2021. 4. 28. 16:30

[싱글파이어]는 2030 밀레니얼 세대 + 1인가구의 경제적 자유와 행복한

일상을 위한 꿀정보를 제공하는 유튜브 경제·재테크·라이프스타일 채널.

 

 


국내 유튜브 사용 인구가 4300만명을 넘어섰다.
1인당 월평균 시청시간도 30시간을 초과할 정도로 유튜브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구독자 10만명 이상을 확보한 국내 계정만 3000~4000개가 훌쩍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튜버 크리에이터들의 활약은 고스란히 수익으로 직결될 터.
2년전인 2019년에 국세청에 신고한 유튜버들의 연평균 수입이 3200만원 수준이니
지금은 대기업 직장인 못지 않은 수익을 벌어들이는 유튜버들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자연히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2030 직장인들도 늘고 있다.
경제적 독립과 시간적 자유를 원하는 밀레니얼 세대에게 유튜브 크리에이터는
도전해볼 만한 새로운 직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대학시절 도전한 창업에서 실패를 맛보고 유튜브 크리에이터에 도전해 2년만에 유튜브, 블로그,
웹사이트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월 1500만원에 달하는 수익을 벌어들이는 디지털노마드 김준영(30)씨를 만났다.

구독자 16만명을 확보한 유튜브 채널 '포리얼'을 운영하면서 온라인 플랫폼 확장으로
쉬는 동안에도 꾸준한 수익을 벌어들이는 노하우를 들어봤다.


<유튜브 채널 '포리얼'을 운영하는 김준영님의 영상 인터뷰는 유튜브 '싱글파이어' 채널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자유롭게 일하고 월 1500만원 버는 디지털노마드"

 

Q. 온라인 1인 사업가인데 어떤 일들을 하고 있어?
A. 유튜브 채널 '포리얼'을 운영하고 있고 구독자가 16만명을 넘어섰어.
유튜브 계정에서 광고수익이 꾸준히 발생하고 기업들이 광고협찬을 하기도 해.

네이버 블로그을 통해 글쓰기 모임도 운영하는데 한 달에 6명 정도 소수로 유료로 하고 있어.
내가 만든 PDF 전자책과 온라인 강의 영상도 직접 만든 웹사이트와 재능공유 플랫폼에서 판매하고 있어.

기업이나 기관의 강의요청도 들어오지.
온라인상에서 플랫폼이 확장되면서 수익 파이프라인들이 계속해서 새로 생겨나고 있어.

Q. 수익구조는 어떻게 돼?
A. 보통 일하지 않아도 월 700만원 정도를 꾸준히 벌 수 있고
열심히 일했다 싶은 달은 월 1500만원까지도 벌어.
유튜브 계정에서 월 300만원 정도 수익이 나오고

전자책, 온라인강의 판매에서도 각각 300만원씩 수익이 꾸준히 나오고 있어.
이밖에 유료모임이나 외부 강연 등을 합하면 월 1000만원 이상을 꾸준히 벌고 있다고 보면 돼.

Q. 수익을 가져다주는 온라인 플랫폼의 '근거지' 같은 유튜브는 어떻게 성장시켰어?
A. 2년전쯤 유튜브를 시작해야겠다고 결심했을 땐 내가 창업을 해본 경험이 있으니까
청년창업 교육 콘텐츠를 하면 잘 되겠다 생각했어.

그런데 막상 스타트업 관련 콘텐츠를 올리니까 아무도 안보는거야.
관심이 없더라고. 그러다 당시 통장에 잔고가 20만원 정도밖에 없을 때니까
생계를 위해서 대리운전이나 퀵배달, 심부름 대행서비스 같은 아르바이트를 많이 했는데

그런 걸 영상으로 만들어 올리니까 반응이 조금씩 오기 시작했어.
그렇게 채널이 커지기 시작했고 온라인상에서 돈을 버는 방법들을 찾아서
직접 체험해보고 후기를 올린 영상들이 인기를 끌고 하면서 채널도 크고 교육요청도 오기 시작하고 그랬어

. 강의 좀 해달라, 노하우를 공유해달라 하는 요청이 늘어나면서
내 지식 콘텐츠가 돈이 될 수 있구나 하는 걸 처음 느낀거지.

그때부터 영상과 글로 내 노하우를 정리해 꾸준히 올렸고
전자책, 온라인 강의를 만들어 돈을 벌기 시작한거야.

"온라인 플랫폼은 '알고리즘' 이해해야...지인에게 '공유'는 초보들이 하는 실수"

Q. 유튜브 알고리즘을 알아야 채널을 키울 수 있다고 하던데?
A. 공식적으로 밝혀진 건 없어서 경험으로 유추하는 거지만
대부분 온라인 소셜 플랫폼 알고리즘의 본질을 비슷하다고 생각해.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좋은 콘텐츠를 판별하는 방향으로 알고리즘이 짜여져 있는거지.
알고리즘이 좋아하는 건 크게 3가지라고 봐.

제목이나 썸네일이 노출됐을 때 많은 사람들이 클릭해야 돼.
그리고 그렇게 클릭한 콘텐츠를 길게 봐야하고 보고 난 후에
댓글을 달든, 좋아요를 누르고 구독과 공유를 하든 어떤 행동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거야.

그러니까 콘텐츠를 만들 때 이런 점들을 감안해서 흥미로워 보이는 썸네일과 제목을 만들고,
초반에 흥미요소를 던져주고, 영상을 보고난 후에는 특정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면 좋지.

Q. 그렇다면 초보 유튜버가 하면 안되는 행동도 있을까?
A. 나도 처음엔 알고리즘 상으로 보면 전혀 도움이 안되는, 그런 영상들을 찍고 있었지.
나도 조회수가 내내 지지부진하다가 '잠자면서 돈을 벌 수 있는 8가지 방법'이란
영상이 소위 '떡상'을 하면서 구독자가 처음 1만명을 돌파할 수 있었어.

이후부터는 요령이 조금씩 생겨서 채널을 좀 더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는 영상들을 제작했지.
초보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가 있어. 영상을 만들고 뿌듯해서
가족이나 주변 친구들에게 홍보해서 구독과 좋아요를 눌러달라고 부탁하는거야.

그러면 친구들은 대부분 채널에 들어와서 영상을 제대로 보지도 않고 그냥 짧게 보고 나가거든.
그럼 알고리즘은 그 영상과 채널이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판단하는거야.
채널을 키우려고 한 행동이 오히려 채널 성장에 악영향을 주는거지.

맞구독이나 주변 지인 홍보는 안하는 게 훨씬 낫다고 봐.

Q. 업로드 양도 중요할까?
A. 채널 초창기에는 영상을 한 주에 4개씩 만들어 올리고
1일 영상 업로드 수준으로 적극적으로 했는데 사실은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면 양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봐.

다만 매주 꾸준히 하는 게 중요한거지.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면서도 마찬가지인데 글을 매일 하나씩 굳이 올리지 않아도 콘텐츠의 질이 좋으면
방문자나 구독자가 늘어나는 데 크게 지장이 없더라고. 결국 양보단 질이라는 거지.

"온라인 플랫폼 수익화하면 잠자는 동안에도 수익"

 

Q. 유튜브, 블로그, 웹사이트를 동시에 운영하는 이유가 뭐야?
A. 유튜브 채널이 내 콘텐츠의 '근거지' 같은 거고
블로그는 또 다른 마케팅 창구 역할을 해.

영상을 보고 더 깊은 정보가 필요한 고객들이 블로그로 들어오는거지.
거기에서 글을 보고 유료로 더 많은 정보를 보고 싶은 사람들이
또 웹사이트로 들어와서 결제를 하고 콘텐츠를 소비하는 구조야.

유튜브에 구독자가 16만명이 넘는다고 해서 거기서 콘텐츠를
바로 유료로 판매하는 건 위험하다고 생각해.
모두가 내 잠재고객은 아니고 보다 대중적인 채널이기 때문이지.

하지만 유튜브를 통해 나를 알게 되고 블로그로 유입돼서
웹사이트까지 들어오는 분들은 진짜 고객인거지.
웹사이트는 자판기처럼 내가 자고 있는 동안에도 상품을 판매해주는 역할을 해.

내가 만약 내 콘텐츠 판매 수익을 극대화하고 싶으면 유튜브에서 영상을 더 많이 올리고
조회수를 늘려서 블로그, 웹사이트로 유입되는 사람들이 늘어나게끔 하면 돼.

Q. 온라인 플랫폼에서 내 콘텐츠의 경쟁력을 키워가는 노하우가 또 있다면?
A. '니치다운'이라고들 하는데 다양한 연령, 고객층을 타깃으로 광범위한 콘텐츠를 하지 말고
'니치마켓'을 공략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

초창기에 확고한 니치마켓을 잡아서 특정 고객을 타깃으로 성장한 후에
조금씩 콘텐츠를 확장시켜 나가도 늦지 않아.

Q. 온라인 플랫폼에서 수익화를 하면 좋은 점은?
A. 디지털노마드의 삶을 꿈꾸는 2030이 많은데 자유롭게 시간을 운용할 수 있고
잘 만들어두면 내가 자는 동안에도 꾸준히 안정적인 수익이 창출된다는 게 최고의 장점이야.

또 오프라인 창업은 자본없이는 하기 힘든데 온라인은 무자본으로도 도전해볼 수 있는 영역이 많아.
나는 따로 비용을 투입해 마케팅도 거의 하지 않아.

Q. 2030 또래에게 조언이 있다면?
A. 일단 유튜브나 블로그 등 본인의 메인 채널을 하나 가지는 걸 추천해.
당장 수익이 나오진 않겠지만 영상을 올리고 글을 쓰고 하면서 콘텐츠 제작 능력을 키워가는 거지.
꾸준히 하다보면 분명 내 지식과 정보를 필요로하는 사람들이 생겨.

그럼 하나씩 니즈에 맞게 콘텐츠를 수익화하는 과정을 거치는거야.
그렇게 조금씩 눈덩이를 굴려나가다보면 1년, 2년이 지나지 않아

충분히 수익을 내고 원하는 자유로운 삶을 살 수 있어.
실행이 가장 중요하고 꾸준히 하는 게 핵심이야.



'유튜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수익성  (0) 2019.07.30
김세연 다리 맛사지 치료  (0) 2019.01.03
도올 김용옥 김어준 시진핑 평가  (0) 2018.01.29
유시민 봉도사  (0) 2018.01.29
정유라 박근혜 관계 김종필 이명박 안다.  (0) 2018.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