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수스님의 빈소 군위삼섬병원에 마련된 문수스님의 분향소 모습 |
ⓒ 정수근 |
| |
문수 스님의 소신공양과 입적 소식을 접한 다음날(1일) 오전, 나는 대구의 몇몇 지인들과 함께 경북 군위로 차를 몰았다. 대구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군위 지보사의 한 선방수좌가 "'4대강 사업' 반대를 외치며 낙동강 둑방에서 소신공양을 했다"는 소식은 평소 정부가 왜곡하고 있는 4대강 사업의 진실을 조금이라도 시민에게 알리고자 애써왔던 나와 내 지인들의 마음을 흔들었다. 그래서 문수스님의 입적을 깊이 애도하고, 스님의 발자취를 찾아보며 스님이 남기신 유지를 받들고자 1일 오전 길을 나섰던 것이다.
스님의 법구는 군위면사무소 한 가운데 위치한 군위삼성병원에 안치되어 있었다. 우리가 도착했을 때는 일반인 문상객이 많지 않았지만, 동료 스님들과 불자들의 분향 행렬은 끊임없이 이어졌다. 도반 스님들이 자리를 지키는 가운데 나와 일행은 소박하게 차려진 스님의 빈소에 분향을 하며 스님의 극락왕생을 깊이 기원했다.
|
▲ 소신공양의 현장 문수스님이 소신공양한, 낙동강의 지천인 유천둑 현장을 '낙동강을 생각하는 대구사람들'의 박종하씨가 황망히 바라보고 있다. |
ⓒ 정수근 |
| |
|
▲ 소신공양의 현장 문수스님이 소신공양한 현장을 4.9인혁재단의 김찬수 운영위원이 현장을 직접 만져보고 있다. |
ⓒ 정수근 |
| |
분향을 한 후 우리 일행은 스님이 소신공양을 한 그 둑으로 향했다. 군위 면소재지를 가로지르며 흘러가는 낙동강의 지천인 '유천'의 둑. 그 둑에 서보니 강이 굽이굽이 흘러가고, 그 너머엔 논밭들이 길게 이어진 전형적인 시골풍경이 눈에 들어온다.
빈소에서 들었던 대로 경찰이 쳐둔 출입통제선 안쪽으로 검게 그을린 그 둑방길은 그곳이 스님이 소신공양을 결행하신 바로 그 장소임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게 했다.
그곳에서 스님이 온몸에 휘발유를 붓고 불을 붙일 때의 그 심정을 생각하니 너무나 아득해진다. 가지런히 자신의 소지품을 정돈한 후에 스님은 자신의 유언인 바 "이명박 정권은 4대강 사업을 즉각 중지·폐기하라", "이명박 정권은 부정부패를 척결하라", "이명박 정권은 재벌과 부자가 아닌 서민과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을 위해 최선을 다하라" 외치면서 온몸을 불살랐던 것이다.
"4대강 사업을 즉각 중지·폐기하라" 그렇다. 지금 4대강의 어느 곳이라도 나가보면 끔찍한 풍경이 나날이 이어진다. 낙동강 16개 보가 들어서는 현장은 말할 것도 없고, 낙동강 전 구간에 걸쳐서 생명 살륙의 현장이 펼쳐져 있다. 강바닥은 포클레인 삽날로 파헤쳐지고, 강변숲과 하천부지 농지는 파괴되어 매립되고 있다. 또 그 안에 깃든 물고기를 비롯한 야생 동식물들은 갈 곳을 몰라 방황하며 죽어간다.
이런 현실을 알고 나면 일반인들 누구나 억장이 무너지는 심정일진대, 불살생의 계훈을 뼛속 깊이 새기면 수행정진해오신 스님의 심정은 어찌 했을까. 스님은 평소 도반들에게 "국민이 이렇게 원치 않는데, 왜 이 사업을 하느냐 … 내가 소신해야 4대강 사업을 해결할 수 있겠다"며 개탄했고, 이곳에서 기어이 몸을 불살라 죽어가는 생명의 강을 지금이라도 살려내라는 서원을 우리에게 남기신 것이다.
|
▲ 쫓겨나는 농민 현풍면 도동2리 낙동강 하천부지에서 양파농사을 짖고 있는 농민. 이곳의 농민들도 곧 쫒겨난다 |
ⓒ 정수근 |
| |
그렇다. 스님의 소신공양은 죽어가는 4대강과 그 안에 깃든 뭇 생명들과 그리고 농민과 골재노동자들을 비롯한 고단한 이웃들의 삶을 다시 한번 생각하라고 우리에게 내려치는 준엄한 죽비다. 이제 죽어가는 생명의 강을 살리는 일과 우리 가난한 이웃들의 삶을 보살피고 함께하는 일은 온전히 우리 몫으로 남았고, 이제는 스님의 뜻을 이어 4대강의 현장으로, 고단한 이웃들 곁으로 우리가 함께 나아갈 차례다.
'지보사'에서 다시 문수스님을 생각하며...
그렇게 소신공양의 현장에서 스님의 사자후를 듣고는 일행은 스님이 3년간 문밖을 나서지 않으면서 바위처럼 굳세게 용맹정진을 해오셨다는 그 지보사(持寶寺)로 향했다. 군위면사무소에서 4km 남짓 떨어진 지보사는 깊은 골의 끝자락에 들어서 있었다.
|
▲ 지보사 문수스님이 3년간 문밖을 나서지 않는 채, 용맹정진을 해온 지보사 그 경내를 오르는 입구의 모습. |
ⓒ 정수근 |
| |
|
▲ 지보사의 전경 군위군의 야산 골짜기 깊숙이 자리잡은 지보사의 전경이다. |
ⓒ 정수근 |
| |
골이 깊은 그곳에 들어선 지보사는 한눈에 보기에도 수행정진을 하기엔 적소처럼 보이는 명당이었다. 그러나 갑작스런 스님의 소신공양 소식에 절집 식구들은 모두 빈소로 향하고 절간은 텅 비어 적막만이 감돌았다. 그런 지보사는 스님의 입적을 애도라도 하는지 절간의 공기는 더욱 낮게 드리워져 있었고, 절간 곳곳에 심어둔, 이제 갖 피어난 수국꽃들만이 그 향기를 전하고 있었다.
우리는 그렇게 스님이 오랫동안 머물며 수행정진한 그곳에서 스님의 발자취를 조심조심 돌아보며 다시 한번 스님의 극락왕생을 기원하고 발길을 돌렸다. 돌아 나오면서 절집 뒤로 드리운 하늘은 얼마나 푸르던지, 저 푸른 하늘 너머로 낙동강의 한 둑방에서 결가부좌 한 채로 활활 타오르는 스님의 모습이 어렴풋이 잡힌다. 스님은 외치고 있었다. "4대강 사업, 즉각 중지·폐기하라."
한편 조계종 중진 스님과 유족 측에 따르면 "스님의 장례는 5일장의 은해사 교구장으로 치르고, 영결식과 다비식은 4일 오전 10시 지보사에서 봉행키로 결정했다"고 한다.
|
▲ 대웅전의 풍경 지보사 대웅전의 풍경만이 방문객을 맞아주고 있었다. |
ⓒ 정수근 |
| |
|
▲ 지보사 3층석탑 보물 제682호. 지보사 경내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아담한 모습이다. 조각 수법이 화려하고 외양이 단정한 고려 전기의 우수한 작품이다. |
ⓒ 정수근 |
| |
|
▲ 지보사 경내에 있는, 선방수좌들의 수행 공간을 김찬수 씨가 바라보고 있다. |
ⓒ 정수근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