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흑자 1위 상대 중국, 2위로..對일본 적자액은 16년래 최소
(세종=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는 중국이 아닌 홍콩과의 무역에서 가장 큰 이익을 봤다.
대(對) 일본 무역적자는 무역상대국들 가운데 여전히 가장 많았지만, 일본의 대한국 수출 제한과 일본 제품 불매
운동 등으로 적자 규모는 16년 래 최소 수준이었다.
관세청이 28일 공개한 '2019년도 수출입 품목·국가별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대홍콩 무역흑자는 301억3천900만달러로 무역상대국들 중 1위였다.
2009년 이후 2018년까지 10년간 1위 자리를 지킨 중국(흑자액 289억9천400만달러)은 2위로 내려앉았다.
이어 베트남(271억600만달러)이 3위를 차지했다.
폴란드(45억5천100만달러·9위)는 10대 무역흑자국 목록에 새로 이름을 올렸다.
우리나라가 교역을 통해 적자를 가장 많이 본 나라는 여전히 일본(적자액 191억6천300만달러)이었다.
하지만 대일본 적자액은 2003년(190억3천700만달러) 이후 16년 만에 가장 적었다.
사우디아라비아(181억1천300만달러)와 호주(127억1천600만달러)가 우리나라에
두 번째, 세 번째로 많은 무역적자를 안겼다.
수출만 보면, 한국의 5대 수출 상대국은 중국(1천362억1천300만달러·비중 25.1%)
·미국(733억4천800만달러·13.5%)·베트남(481억7천800만달러·8.9%)
·홍콩(319억1천400만달러·5.9%)·일본(284억1천200만달러·5.2%) 순이었다.
'신남방 정책'의 대상인 말레이시아(88억4천600만달러·1.6%)가 10대 수출국에 처음 진입했다.
5대 수입 상대국은 중국(1천72억2천만달러·21.3%)·미국(618억7천200만달러·12.3%)
·일본(475억7천500만달러·9.5%)·사우디아라비아(218억1천400만달러·4.3%)
·베트남(210억7천100만달러·4.2%)이었다.
우리나라가 많이 수출하는 품목은 반도체(939억3천500만달러)로,
전체 수출액(5천423억3천300만달러)의 17.3%를 차지했다.
자동차(430억4천만달러·비중 7.9%), 석유제품(406억4천800만달러·7.5%),
자동차부품(225억3천600만달러·4.2%),
평판디스플레이(204억9천300만달러·3.8%)가 뒤를 이었다.
2018년과 비교해 반도체(-25.9%), 무선통신기기(-17.6%)
평판디스플레이(-17%), 석유제품(-12.3%) 등의 수출이 줄었다.
5대 수입 품목은 원유(701억9천300만달러·비중 13.9%)·반도체(470억3천만달러·9.3%)
·천연가스(205억7천500만달러·4.1%), 석유제품(175억3천600만달러·3.5%)·
석탄(142억1천200만달러·2.8%)으로 집계됐다.
석유제품(-18.2%), 석탄(-14.9%), 원유(-12.7%) 등의 수입은 감소했지만
무선통신기기(9.6%), 반도체(5.1%) 등은 오히려 늘었다.
shk999@yna.co.kr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대통령 대기업 상생 모범 (0) | 2020.02.14 |
---|---|
대한항공 남매 지분싸움 (0) | 2020.02.04 |
각종 기금 (0) | 2019.12.12 |
일본 수출 수입 (0) | 2019.12.06 |
일본차 할인판매 (0) | 2019.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