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도 비료도 필요 없는 '태평농사' >
농사는 봄이 아니라 가을에 시작해야 한다. 벼는 무논에 모를 심을 게 아니라 밭에 씨앗을 뿌려야 한다. 논 갈지 말고, 밭 갈지 말고, 농약 치지 말고, 비료 주지 말아야 한다. 벼 수확한 땅에 볏짚을 그대로 두어야 하고, 보리 수확한 땅에 보릿짚 그대로 둬야 한다. 산에 나무와 풀이 살 듯 그대로 살게 해야 한다. 그러면 해와 달, 비와 흙이 농사를 지어준다.
이른바 '태평농법'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게으른 농사꾼이라는 소리를 듣는 태평농 이영문씨가 34년 전부터 지어온 농사법이다. 저래가지고 농사가 되겠나 의심스럽다. 농업 전문가들이나 30년 농사꾼 귀에는 도무지 씨도 먹히지 않을 농법이다. 이영문씨가 말하는 '태평농법'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태평농법'을 이하 '태평'으로 쓴다.)
◇ 농약도 비료도 필요 없는 농사
농약 없이 잡풀을 어떻게 막고, 비료 없이 어떻게 영양분을 공급할까. 태평은 가을에 벼를 수확하기에 앞서 밀이나 보리씨를 뿌린다. 그 다음 벼를 수확하고 볏짚은 그대로 들판에 둔다. 볏짚은 파종해둔 보리나 밀 씨앗을 새들로부터 지켜주고 잡풀이 자라는 것을 막아준다. 볏짚을 덮어두면 제 아무리 질긴 뚝새풀이라도 살지 못한다. 설령 잡초가 돋았다고 해도 빛이 거의 들지 않아 시름시름 앓다가 죽는다.
이듬해 여름이 오면 보리나 밀을 거두기 전에 볍씨를 뿌린다. 그리고 밀이나 보리를 거두고 밀짚이나 보릿짚은 그대로 둔다. 역시 새를 막고 잡초를 막는다. 게다가 종자 위에 덮어주는 짚은 미생물의 먹이가 된다. 미생물은 짚을 먹고, 벼나 보리는 미생물의 분비물이나 시체를 영양분으로 한다. 그러니 농약도 비료도 필요 없어진다. 볏짚을 덮어주지 않고 봄에 농사를 지으려면 잡풀이 무성하니 제초제를 쳐야하고, 땅에 영양분이 없으니 비료를 뿌려야 한다.
◇ "농사는 가을에 시작하는 것"
태평은 가을에 농사를 시작한다. 서리가 내리고 날씨가 추워지면서 논밭의 잡초와 해충이 급격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봄에 모든 동식물이 자생력을 갖춘 상태에서 곡식을 심으면 잡초를 이겨내기 어렵다. 잡초가 많아 곡식이 비틀거리면 농부들은 결국 제초제를 뿌리고 비료를 쳐야 한다. 농약 치고 비료주기 시작하면 '관행농법'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러나 서리가 내리고 잡초가 사라진 땅에 씨앗을 뿌리고 볏짚을 덮어두면 곡식은 충분히 자생력을 갖춘 상태에서 봄을 맞이할 수 있다.
태평이 가을에 농사를 시작하는 이유는 또 있다. 가을 빈 땅에 보리나 밀을 파종해두면 겨우내 들판은 온갖 생명체가 살아 숨쉬는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한다. 겨울 동안 비워둔 흙과 보리나 밀을 심어둔 흙은 이듬해 봄에 전혀 다르다. 게다가 보리나 밀이 자리를 잡고 나면 잡초가 자라지 못한다. 봄에 논갈이나 제초제가 필요 없어진다.
◇ 씨앗을 심지 말고 뿌려라.
태평은 씨앗을 심지 않고 뿌린다. 흙으로 덮어 생매장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내버려두면 씨앗은 스스로 건강한 뿌리를 내려 든든하게 자란다. 웬만한 바람이 불어도 끄덕 없다.
자연의 열매나 씨앗은 그냥 땅에 떨어져 스스로 뿌리내리고 산다. 그러나 '관행농법'에서는 씨앗을 땅에 파묻는다. 벼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식물을 그렇게 생매장한다. 태평은 매장을 금지한다. 벼나 보리 밀의 경우 땅에 뿌리면 그만이고 콩이나 다른 식물은 홈을 파서 넣어주는 정도면 충분하다. 흙 위에 떨어져 스스로 뿌리내린 식물은 태풍에도 견딜 만큼 튼튼한 뿌리를 내린다.
일반적인 '관행농법'에서는 볍씨를 뿌리기 전에 소독을 위해 농약물에 담근다. 그리고 무논에 뿌린다. 물에 담긴 볍씨는 호흡을 위해 싹을 먼저 틔운다. 그런 다음 뿌리를 내리기 때문에 뿌리가 약하다. 발아 때부터 잘못 됐기 때문에 제 스스로 살아가기 힘들다. 그래서 비료도 쳐주어야 한다. 뿌리가 깊지 않으니 바람이 불면 쉽게 쓰러지고 병해충이 닥치면 금방 마르는 이유가 여기 있다.
◇ 살충제 대신 물엿을
흔히 밭작물을 몇 년 계속해서 심으면 연작피해가 발생한다고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식물의 궁합을 잘 맞추면 그런 염려를 크게 덜 수 있다. 도시인들이 아파트 베란다에서 키우거나 소규모 텃밭에서 키울 때 해충이나 잡초로부터 자유롭기는 어렵다. 아파트 베란다에서 채소의 궁합을 맞춰가며 기르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함부로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를 뿌릴 수는 없다.
이영문씨는 꼭 써야 한다면 살균제나 살충제 대신 물엿을 쓰라고 한다. 물엿을 물과 혼합에 벌레가 많은 작물에 뿌리는 것이다. 분무기로 뿜어서 나올 정도의 농도면 된다. 끈적끈적한 물엿이 벌레들의 발과 날개를 묶어 죽인다. 또한 뿜어낸 물엿의 물이 증발하면서 잎에 코팅이 돼 작은 해충이 파고들지 못한다. 다만 개미가 많은 곳이라면 조심해야 한다.
식물의 궁합을 이용하면 잡초를 충분히 막을 수 있지만, 처음 농사를 시작하기 전 땅에 잡초가 너무 많다면 뽑아내지 말고 10% 소금물을 뿌려 고사시키면 된다.
◇ 6월 파종하면 태풍에 강하다
태평이 볍씨를 뿌리는 시기는 대충 6월이다. 더 늦어도 상관없다. 벼는 아열대 식물에 속한다. 아열대 기후 조건이 비슷하게 갖춰줬을 때가 6월 중순이다. 이때 뿌리면 가을이 충분히 익은 다음 수확하게 되고 일부러 말릴 필요가 없다. 현재 '관행농법'은 너무 일찍 수확하기 때문에 건조과정을 따로 거쳐야 한다. 벼 알곡에 수분이 30%까지 남아 있는 상태에서 수확하기 때문에 건조하지 않으면 썩어버리기 때문이다.
벼가 한창 자라는 계절은 여름이다. 여름은 밤이 짧고 낮이 길다. 벼는 낮이 길면 자라고, 낮이 짧아지면 알곡 맺을 준비를 한다. 그래서 너무 일찍 심은 벼는 여름을 보내는 동안 웃자라기 십상이다. 더구나 일찍 모내기한 논의 벼는 일찍 이삭을 내고 고개 숙일 준비를 한다. 이때 태풍이 닥치면 속수무책이다. 그러나 늦게 씨앗을 뿌린 태평논의 벼는 아직 젊고 줄기가 싱싱해 태풍에도 강하다.
◇태평농사, 벌레도 막아줘
텃밭을 키우는 사람들이 많다. 식구들이 먹을 농산물을 깨끗하고 안전하게 렵다는 것을 안다. 식물궁합을 잘 이용하면 이런 고민을 많이 줄일 수 있다재배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막상 시작해보면 비료 안내고 농약 안 치기 어렵다는 것을 안다. 식물궁합을 잘 이용하면 이런 고민을 많이 줄일 수 있다
△ 마늘과 상추
밥상의 단골인 마늘을 심어보자. 흙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로터리를 칠 필요는 없다. 이전에 콩이나 다른 작물을 심었던 땅이라면 콩깍지나 콩대를 걷어내지 말자. 그것들에 의지해 사는 미생물들이 있어야 땅이 비옥해진다. 그저 이랑을 높여주고 마늘쪽 한 개 반쯤 깊이로 구멍을 뚫는다. 그 자리에 마늘쪽을 넣으면 끝이다.
이랑을 높여주는 것은 흙의 호흡을 돕는 셈이다. 마늘쪽을 넣은 다음 흙을 덮을 필요는 없다. 추위를 막겠다고 비닐 멀칭을 할 필요는 더욱 없다. 흙을 덮거나 비닐을 씌우면 마늘 뿌리는 호흡이 힘들어진다. 게다가 아직 살아 있는 벌레들이 따뜻한 곳을 찾아 모이게 되니 해롭다. 마늘은 흙 속에 뿌리 두 개만 내리면 영하로 기온이 내려가도 얼어죽지 않는다. 다만 생장을 잠시 멈출 뿐이다.
그러나 이 상태로 두면 이듬해 봄 잡초가 무성해질 것이다. 그래서 농부들이 비닐 멀칭을 하는 것이다. '태평농법'에서는 비닐을 덮는 대신 밭에 물을 조금 준 뒤 상추씨를 뿌린다. 상추는 이듬해 봄에 잡초를 막아주는 일꾼이다. 겨울에 씨를 뿌려둔 상추밭에서는 잡초가 자라지 못한다. 상추의 넓은 잎이 빛을 막기 때문이다. 겨우내 상추는 조금씩 자란다. 그리고 봄이 오면 잎이 활짝 열린다. 겨울을 견뎌낸 상추 맛은 약간 톡 쏘는 듯 하면서도 고소해 일품이다.
△ 양파와 시금치
양파를 심는 방식은 마늘과 같다. 씨를 파종하든 모종을 심든 구멍만 뚫어주고 흙을 덮지 않아야 한다. 양파 옆에는 시금치씨를 뿌린다. 양파에 시금치는 마늘에 상추와 같은 역할을 한다.
△ 감자와 콩
봄이 가고 여름이 온다. 마늘수확기가 다가오는 것이다. 그 동안 부지런히 상추 잎을 따서 쌈을 싸먹으면 된다. 상추는 잎만 따고 줄기는 그대로 두자. 다음 작물이 자라는 동안 그늘을 드리워 잡초를 막아준다.
하지가 가까워지면 마늘을 수확한다. 대개 호미나 기계로 캐지만 심을 때 흙과 미생물을 살린 '태평농'에서는 손으로 뽑아도 잘 뽑힌다. 마늘을 수확한 자리에는 눈 딴 감자를 심어보자. 마늘 뽑아낸 자리에 감자를 놓기만 하면 된다.
다만 마늘 심은 자리에 그대로 감자를 놓으면 너무 촘촘해지므로 40∼50cm 간격으로 띄엄띄엄 놓는다. 띄엄띄엄 빈자리에는 콩을 심으면 된다. 콩을 심으면 부가수확을 얻을 뿐만 아니라 벌레를 막을 수 있다. 감자 잎에는 유달리 벌레가 많아 농사를 망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콩을 곁들어 심으면 벌레들이 콩잎으로 몰린다. 벌레들에게 감자 대신 콩잎을 내주는 것이다. 앞서 밝혔듯 콩은 잎을 많이 뜯길수록 열매가 많다. 황소가 뜯어도 좋을 정도니 벌레들이 제 아무리 뜯어도 걱정이 없다. 벌레가 생긴다고 약을 치면 콩은 열리지 않고 잎만 무성해질 수 있다.
△ 고구마와 참깨
마늘이나 양파를 뽑아낸 자리에 고구마를 심어도 좋다. 고구마는 자외선에 약해 양산이 필요하다. 이럴 땐 참깨가 제격이다. 참깨는 키가 큰 작물이라 고구마에 내리쬐는 자외선을 충분히 막아준다. 또한 고구마 잎은 밑에서 잡초가 자라는 것을 막는다. 밑에서는 고구마 순이 파릇파릇 자라고 위에서는 고소한 참깨가 너울너울 춤을 춘다.
△ 고추와 열무
고추를 심을 때는 열무를 아래 심는다. 열무는 고구마와 마찬가지로 강한 햇빛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때 고추가 그늘을 만들어주면 고랭지가 아니더라도 맛 좋은 열무를 생산할 수 있다. 게다가 열무를 고추 아래 심으면 통기성이 좋고 보습효과를 가져 고추재배에 아주 좋다. 또 열무는 지주역할을 해 고추가 자라면서 넘어지는 것도 막아주니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셈이다.
아쉬운 점은 '관행농법' 혹은 '화학농법'이 등장하면서 고추가 너무 약해졌다는 점이다. 고추는 비료를 하지 않으면 자라지 못하고, 농약을 치지 않으면 버티지도 못한다. 요즘 나오는 종자가 허약해빠졌기 때문이다.
◇태평농사꾼 이영문씨
이영문씨는 34년째 태평농법으로 농사를 짓고 있다. 경남 하동군 옥종면 청룡리에서 3만 6천평의 벼농사를 홀로 짓는다. (현재는 맏아들이 농사를 짓고 이영문씨는 경남 사천시 석포면 별학섬에서 종자연구중이다.)그는 논을 갈지도 않고 종자를 소독하지도 않는다. 모내기를 하는 대신 씨앗을 그냥 뿌린다. 비료 한 알갱이, 농약 한 방울 쓰지 않는다. 그저 씨뿌리고 수확하는 게 일이다. 그래도 생산량은 '관행농법'과 별반 차이가 없다. 이영문씨가 생산한 쌀은 일반 쌀보다 비싸게 팔린다
◇ 땅을 살리면 농사는 저절로
이영문씨가 처음부터 농사에 관심을 기울인 것은 아니다. 그는 기계에 관심이 많은 소년이었고, 청년이었다. 처음에는 농기계 수리점을 열었다. 농기계 관련 자격증도 많다. 농업기계 기능사, 농업기계 정비 기능사, 산업기 기능사, 자동차 농기계 특허 출원…. 직접 농기계를 만들기도 했다. 농기계에 관심을 갖던 그는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농기계가 정교해질수록 수확량이 적더라는 것이다. 이상한 현상을 접하고 직접 실험을 했다. 기계로 땅을 간 논, 소로 간 논, 땅을 갈지 않은 논을 비교했던 것이다. 땅을 갈지 않은 논의 벼가 훨씬 잘 자랐다. 그는 원인을 추적했다. 문제는 흙이 얼마나 건강한가에 달려 있었다. 흙을 건강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농약과 비료를 주지말고 자연상태로 복원시켜야 함을 깨달았다.
이영문씨가 혼자 3만 6천 평의 농사를 지을 수 있는 것은 씨를 뿌리고 곡식을 걷기만 하는 이른바 '게으른 농법'을 쓰기 때문이다. 이렇게 기른 땅의 수확량이 '관행농법'을 이용하는 인근의 다른 논과 수확량에 별반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경상대학교 농과대학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5년 평균 수확량이 '관행농법'에 뒤지지 않는다고 한다.
◇ 태평농을 바라보는 시각
이영문씨는 무논이 아니라 마른 땅에 볍씨를 뿌린다. 땅을 로터리로 갈지도 않고, 모판을 내지도 않는다. 농약이나 비료는 더구나 없다.
'말도 안 되는 소리' '정신 나간 놈' 이영문씨의 '태평농법'을 비판하는 말은 많다. 나이 지긋한 농민들 중에는 '내 평생 농사를 지었다. 당신 방식대로 하면 농사 망친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다. 이영문씨는 이렇게 되묻는다. '모판은 언제 내시는지? 왜 그때 내시는지? 벼 마디가 얼마나 되는지 아시는지?'
목청을 높이던 사람들은 대답을 못한다. 이영문씨가 그렇게 되물었던 것은 '평생동안 농사를 지었다고 하지만 그저 남들이 하는 대로 따라 한 것일 뿐 면밀한 관찰이 없었다.'는 점을 말해주기 위해서였다.
이영문씨의 농법을 배우기 위해 찾아오는 농민과 귀농을 꿈꾸는 예비농민들도 많다. 그들은 배우고 익힌 것을 실험하고 의문점을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물으면 이영문씨는 꼼꼼하게 답한다.
사람들은 흔히 태평농법을 '게으른 농법' '태평스러운' 농법이라고 한다. 농약 안 치고, 비료 안 주니 노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영문씨가 생각하는 태평은 곤충과 세균, 해충과 익충이 모두 '태평한 세월'을 이루는 공생을 말한다.
◇ 종자 지키기 노력 계속
이영문씨는 농사꾼이 아니라 전사 같았다.
'땅이 살아야 사람이 산다. 비료로 땅을 비만에 뒤뚱거리게 하고, 농약으로 그 땅에 사는 생명을 죽여서는 안 된다.'
낮은 목소리였지만 강단이 배여 있었다.
"30년 전 만해도 농가마다 종자를 보관했어요. 지금은 매년 종자를 사다 씁니다. 멀쩡하던 우리 종자를 다 없애버리고 외국에서 종자를 수입하는 지경입니다. 사다 쓰는 종자를 심어 열매를 맺으면 크고 상품가치도 있어 보입니다. 그런데 그 씨앗을 받아 심으면 농사가 안됩니다. 잡종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작물과 교배시켜 만든 잡종이니 정상적인 번식능력이 없는 씨앗이라는 말입니다."
이영문씨는 땅을 살리고 종자를 지켜야 사람이 산다고 했다. 그가 경남 사천시 서포면 비토리 별학섬에는 600종의 종자를 보존, 연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는 붕어와 메기, 자라가 사는 논바닥, 속살 깊은 흙을 한삽 떠내면 누런 미꾸라지가 지천인 도랑, 메뚜기가 뛰고 잠자리가 날아다니는 논을 꿈꾸는 사람이었다.
조두진기자/매일신문 07.6.21.
'특별 사건 성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6.4 지방선거] `박근혜 기표` 대선 투표용지 파주서도 발견 (0) | 2014.06.06 |
---|---|
[스크랩] 핵물리학자 이휘소 박사와 박정희 대통령 (0) | 2013.04.24 |
백운학과 김종필 (0) | 2011.05.13 |
해커 (0) | 2011.04.23 |
락엔락 성공신화 (0) | 2011.04.23 |